남성들이 애써 부정하려 했던 최고 여성 권력가의 육감의 정치를 해부하다

[서울=시사뉴스피플] 김보연 기자

 
<왕비의 하루>는 남성 권력 사회에서 생존해야 했던 여성 최고 권력가의 복심과 반전의 드라마를 ‘하루’라는 시간 안에 녹인 책이다.

저자인 이한우는 상상력을 동원한 힘 있는 글쓰기와 정치한 역사 해석이 교차하는 가파른 지점을 소요하는 저널리스트로서 10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면서 권력의 리더십 연구에 몰두해왔다.

유리 천장의 꼭대기에 매달린 여성
‘유리 천장glass ceiling’이란 용어가 있다. 여성들의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사회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하는 말로 여성 진출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딸도 아들과 똑같이 유산을 상속받던 고려에 비해 이 땅에 가부장적 질서가 통치 이데올로기가 정착돼 남녀 차별이 극심했던 조선에서 유리 천장의 꼭대기에 있는 여성은 왕비였다. 아이러니컬한 사실은 이런 여성 억압적 질서가 여성 왕비인 인수대비의 손에 의해 확립됐다는 것이다.《내훈》을 편찬하면서 여성들을 가부장적 질서 속에 묶어놓은 인수대비는 1476년 7월 17일 아들 성종을 통해 과부의 재혼 금지 및 재가 자손이 벼슬길을 금하는 법제를 확립시킨다. 그리고 이 질서를 기반으로, 성종의 왕권 강화를 꿈꿨던 며느리 윤씨를 살해한다.

사필이 밟힌 최초의 국모에서 정권을 장악한 마지막 황후까지
‘닭 울음소리의 경계鷄鳴之戒’로 시작하는 아침 기침에서 문안 인사와 수라상, 내명부와 외명부를 통솔하는 왕비의 일상적인 하루를 그린 프롤로그가 지나면 조선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하루 속에 놓인 왕비 세 명이 등장한다. 사필이 지워버린 최초의 국모 신덕왕후, 여성 억압의 문화가 살해한 폐비 윤씨, 왕의 권력을 휘두른 유일한 여성 문정왕후가 그들이다. 태조 이성계의 정비였던 신덕왕후는 조선 최초의 국모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집안은 《고려사》에서 폐행(嬖幸: 아첨하는 간신)으로 분류되는데…

역사에 대한 색다른 통찰과 흥미진진한 몰입감을 선보이다
신덕왕후와 이방원의 대립에서 명성황후와 흥선대원군의 암투까지 왕비들과 왕실은 조선사 500년 동안 전쟁을 치렀다. 왕비들은 남성 권력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 여성 특유의 육감의 정치를 구사하면서 때때로 짜릿한 반전의 드라마를 만들어냈다.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배출했지만 우리 사회의 유리 천장은 여전히 견고하며 우리는 이 천장의 뿌리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왕의 총애를 둘러싼 투기나 권력 투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남성 권력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한 여성의 투쟁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책 <왕비의 하루>는 이런 필연적 요구를 충족시켜줄 뿐 아니라 영화와 드라마 사극에 못지않은 재미를 선사한다. 독자들에게 역사에 대한 색다른 통찰과 흥미진진한 몰입감을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