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닭‧오리 887만 마리 살처분…이동 중지 명령
[시사뉴스피플=전은지 기자] 조류인플루엔자(AI)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1000만 마리가 넘게 살처분 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살처분 된 가금류는 887만8000수(11일 기준)로, 추가로 154만여 수가 살처분 될 예정이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 2014년 195일 동안 1396만 마리 살처분한 것에 비해 역대 최단기간 내에 최대 피해가 예상된다.
농식품부는 AI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이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관계장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AI방역대책본부를 확대 개편해, AI 방역대책본부내에 범정부 지원반을 추가 설치해 대응 체계를 강화하며, 전국 일제소독 후, ‘전국단위 가금류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추가로 발령했다.
지난달 18일과 25일에 이어 세 번째로 내려지는 일시 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은 지역간, 발생 지역내 AI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다. 지난 5~11일까지 19개 시군에서 산발적인 발생이 지속되고 있으며, 충북 음성‧진천, 경기 포천 등 일부 지역에서 차량 등을 통한 농장 간 전파가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오는 13일 0시부터 14일 24시까지 48시간 동안 전국 가금류 관련 사람, 차량, 물품 등은 타 지역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일시 이동중지 적용대상은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등록된 8900개소에 해당한다.
현재까지 국내 발생 AI 신고 건은 총 52건으로, 그 중 43건이 고병원성 AI(H5N6형)으로 확진됐으며 9건은 검사 중이다. 국내에서 발견된 H5N6형 AI 바이러스는 중국 광동성·홍콩 등에서 발생한 AI 바이러스에 오염된 철새가 시베리아 등에서 야생철새와 교차되면서 재조합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농식품부는 지자체의 현장 방역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국민안전처와 특별 교부세 추가 지원, 국방부와 경찰청에 인력과 장비 지원 등을 협의할 계획이다. 또한, 계란 등 가금류 수급을 안정시키기 위해 농축산물 수급‧가격 상황을 점검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