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구축
[시사뉴스피플=이수민 기자] 행정안전부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미세먼지 대응 시스템 구축, 재난상황 공유·관리 플랫폼 운영 등 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하나 공공서비스 사업이 시행된다. 이에 올해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으로 5개를 선정하고 총 38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올해 선정된 5개의 사업은 서울 도봉구의 미세먼지 사물인터넷(IoT) 측정 및 인공지능 기반 대응시스템, &국립공원공단의 국립공원 스마트 재난안전 통합 플랫폼, 대전 소방본부의 실시간 재난 응급상황 공유 플랫폼, 서울 성동구, 경남 김해시의 인공지능 기반 민원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등이다.
행안부는 사업 선정을 위해 지난 1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공모 접수를 진행하였으며, 3월 2일 사업검토위원회를 통해 서류심사 및 발표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5개의 과제를 선정했다. 먼저, 서울시 도봉구는 ‘인공지능 기반 미세먼지 대응시스템’을 구축하여, 미세먼지 농도 측정 정확도를 높이고 미세먼지 정보를 분석·활용한다.
국립공원 재난상황 공유·관리 플랫폼은 각각의 국립공원에 산재되어 있는 11종의 안전관리시스템을 단일 업무를 통합한 시스템이다. 시설물 위치 및 관측정보 등의 공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3디(D) 지리정보체계(GIS) 기반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고, 보안카메라(CCTV) 영상 이미지 분석, 드론영상 관제 등 재난상황 모니터링 등을 시행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인지와 인명구조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있다.
행안부와 사업주관 기관인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5월 말까지 5개 주관기관과 함께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11월 말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해왔던 첨단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과 디지털 공공서비스 혁신 프로젝트 시범사업에서 사업 효과성이 검증되고 파급 효과가 높은 사업을 선정하여 이를 전국으로 확산할 방침이다.
지역디지털서비스 과장은 “첨단정보기술을 활용하여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민원·행정 분야의 편의성을 높이고, 재난·안전 분야의 안전성을 강화하여 보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