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전투기 민가 오폭 …포천시 재난상황대책본부 가동
[시사뉴스피플=한장선 선임 기자] 공군은 6일 경기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일대에서 실시된 한미연합훈련 중 발생한 민간 지역 전투기 오폭 사고가 조종사의 표적 좌표 입력 실수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10시4분께 공·육군 연합·합동 화력 실사격 훈련에 참가 중이었던 공군 케이에프(KF)-16에서 엠케이(MK)-82 일반폭탄 8발이 비정상 투하되어 사격장 외부 지역에 낙탄됐다.
공군 관계자는 이날 오후 전투기 오폭 사고 관련 언론 브리핑에서 “조종사가 전날 사무실에서 비행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표적 좌표를 장비에 잘못 입력한 것을 해당 조종사 진술 등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처음 주어진) 좌표가 잘못된 것은 아니고, 조종사가 입력을 잘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결과 폭탄은 원래 표적지인 훈련장으로부터 약 8㎞ 떨어진 민간 지역에 떨어졌다.
이 관계자는 “전날 입력한 좌표를 들고 조종사가 전투기에 탑승해 좌표를 전투기에 업로드하면서 확인하고, 비행하면서 폭탄을 투하하기 전 육안으로 좌표를 다시 확인하는 과정도 있다”며 “두 차례 좌표 확인, 재확인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오폭 사고는 케이에프-16 2대가 일반폭탄인 엠케이-82 각각 4발을 사격장에 투하하는 훈련 중에 발생했다. 이 가운데 한 대는 좌표 입력 실수가 드러났지만, 다른 한 대의 오폭 사고 원인은 공군이 더 확인해 봐야 한다는 게 국방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사고 초기부터 행정 당국은 전투기 폭탄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공군은 발생 1시간40분이 지나서야 간단한 사실관계를 국방부 출입기자들에게 문자 공지로 알려 비판을 자초했다.
국방부는 이번 사고의 정확한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소총 사격을 포함한 모든 실사격 훈련을 전면 중지하기로 했다. 합참은 오는 10일 시작하는 한미연합연습인 자유의방패(FS)연습은 정상시행하되, 야외기동훈련 조정 여부는 국방부·각군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는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 연습과 연계한 올해 첫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이 진행됐다.
한편, 포천시(시장 백영현)는 사고와 관련해 포천시청에 재난상황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사고 수습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고로 15명의 중·경상자가 발생했고, 상수도, 주택 2채, 성당, 1톤 트럭, 비닐하우스 파손 등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사고 현장에서 백영현 포천시장은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 이병우 포천소방서장, 군 관계자 등과 함께 사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후 군, 경찰,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통합현장지휘소가 설치됐다. 현장은 인명구조 및 사고현장 보존을 위해 통제 중이다.
포천시는 사고 발생 직후 즉각적으로 유관기관과 협력해 재난상황대책본부를 설치하고, 피해 대책 수습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중·경상자는 포천의료원 및 우리·성모병원 등으로 분산 배치돼 치료 중이며, 병원에 파견된 시 관계자가 1대1 매칭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임시구호소는 노곡2리 경로당에 마련됐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고,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사고 수습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주민들이 신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