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12·3 비상계엄’ 관련 한덕수·이상민·최상목 소환조사

2025-05-27     손영철 전문기자
한덕수·이상민·최상목 (사진=시사뉴스피플 DB)

[시사뉴스피플=손영철 전문 기자] 경찰이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전직 고위 관계자들을 소환해 조사 중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산하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26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최 전 부총리는 오후 12시에 각각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경찰은 최근 대통령실 대접견실과 집무실 복도 등에서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을 분석한 결과, 이들 세 인사의 기존 진술과 일부 내용이 상이하다고 보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CCTV 확인 결과, 출석 조사 시 이들이 진술한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었다”며 “현재 이를 중심으로 진술 신빙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확보된 CCTV는 지난해 12월 3일 오후 6시부터 다음 날까지의 영상으로, 비상계엄 선포 당일 대통령 집무실 복도와 국무회의가 열린 대접견실 등이 포함돼 있다.

경찰은 구체적인 불일치 내용에 대해서는 “수사 중인 사안이라 밝히기 어렵다”며 “언론 보도, 국회 증언, 기존 경찰 조사 진술 내용과 비교해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상민 전 장관은 비상계엄 사태 당시 특정 언론사를 대상으로 단전·단수를 지시한 혐의에 대해서도 별도로 조사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또한, 비상계엄 선포 사흘 뒤인 지난해 12월 6일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사용한 비화폰의 사용자 정보가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을 확인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해당 삭제 행위와 관련해 경찰은 대통령경호처의 개입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비화폰 사용자 정보 삭제는 일반 휴대전화의 초기화와 유사한 개념”이라며 “삭제 경위와 책임 소재를 규명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