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다중피해 사기 범죄 대응 국제공조 강화
[시사뉴스피플=안상호 기자] 경찰청이 지난 6월 2일부터 3일까지 홍콩 경무처 본부에서 열린 ‘프런티어+(FRONTIER+)’ 국제회의 및 기자회견에 참석해, 전기통신금융사기 등 다중피해 사기 범죄에 대한 국제 공조를 강화했다.
‘프런티어+’는 2024년 10월 출범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기방지센터 간 협력체로, 싱가포르 반사기 센터(Anti-Scam Command)를 포함한 10개국(대한민국, 호주, 캐나다, 홍콩, 인도네시아, 마카오, 말레이시아, 몰디브, 싱가포르, 태국)의 법집행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센터가 회원 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이번 국제회의는 최근 범죄 동향과 범인 검거, 범죄수익 환수 성과를 공유하고, 사기 방지에 대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한국을 비롯해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몰디브, 싱가포르, 태국 등 7개국의 사기방지센터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국 경찰청을 대표해 참석한 박상현 경정(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은 회의에서 ‘예약부도(노쇼) 사기’, ‘카드 배송 사칭’ 등 최근 국내에서 확산 중인 사기 수법을 소개하고, 주요 범인 검거 사례와 범죄수익 환수 성과를 발표했다. 특히 계좌 지급정지, 가상자산 차단, 악성 앱 설치 피해자 지원 등 대한민국 경찰의 대응 역량을 공유해 참석국들의 주목을 받았다.
홍콩 경무처에 따르면,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28일까지 한 달간 ‘프런티어+’ 참여국들은 총 9,628건의 사기 사건을 수사하고, 1,858명을 검거했다. 이 기간 동안 32,607개의 계좌를 동결해 약 1,940만 달러(한화 약 268억 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프런티어+는 향후 실시간 정보 분석 및 공유 기능을 강화하고, 더 많은 국가 및 기관의 참여를 통해 초국경적 사기 범죄에 대응할 계획이다.
박찬우 경찰청 경제범죄수사과장은 “다중피해 사기 범죄는 점점 더 초국경화되고 지능화되고 있다”며 “해외 콜센터 추적 및 검거를 포함한 국제공조를 확대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