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화 포스코 회장, 美서 에너지 협력방안 논의
[시사뉴스피플=안상호 기자] 포스코그룹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국제 포럼을 통해 글로벌 리더십 강화 전략을 발표하고, 인공지능(AI)과 에너지 분야에서 한미 협력 기반의 제조업 해법을 제시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18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글로벌 철강 산업 전략회의(Global Steel Dynamics Forum)’에 참석해 포스코의 미래 전략을 소개했다.
이 포럼은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 월드스틸다이나믹스(WSD)가 주최하며, 세계 철강산업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데이비드 버릿 US스틸 최고경영자(CEO), 로렌코 곤칼베스 클리브랜드 클리프스 회장, TV 나렌드란 타타스틸 CEO 등 철강업계 리더들과 업계 관계자 약 500여 명이 자리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특히 포스코홀딩스가 WSD가 주관하는 ‘명예의 전당(Hall of Fame)’에 헌액되는 기념식이 열려 주목을 받았다. WSD는 2002년부터 전 세계 35개 주요 철강사를 대상으로 기술 혁신, 생산 규모, 원가 절감, 가공 효율성, 재무 건전성, 고객 접근성, 원료 확보력 등 23개 항목을 평가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기업’을 선정해 왔으며, 포스코홀딩스는 2010년부터 2024년까지 15년 연속 1위에 오르며 명예의 전당에 영구 헌액됐다.
장인화 회장은 “15년 연속 1위라는 성과는 결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모든 임직원이 흘린 땀과 헌신의 결과”라며 “이번 헌액은 글로벌 철강업계가 보내는 격려와 응원의 의미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이어 “AI를 활용한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과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등 혁신 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며 “포스코는 앞으로도 과감한 도전과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책임 있는 성장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 앞서 장 회장은 지난 17일, 한미 양국 간 협력 증진을 위해 설립된 민간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관한 라운드테이블에도 참석해 한미 간 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해당 행사에는 캐슬린 스티븐스 이사장(전 주한 미국대사), 토마스 번 회장, 메릴랜드대학교 제이 리 석좌교수, 미국 에너지협회 마크 메네제스 회장 등 양국의 AI, 에너지, 지정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글로벌 경제 블록화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철강, 이차전지 소재,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기회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토론이 이뤄졌으며, 특히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해 산업별 전문지식과 데이터를 AI에 통합해 신뢰도를 제고하는 ‘대규모 지식 모델’ 구축, 고위험·비정형 작업 환경의 로봇 자동화 도입 등 실질적 과제 해결 방안이 논의됐다.
한편 장 회장은 지난 4월에는 호주에서 열린 세계철강협회 집행위원회에 참석한 데 이어, 호주 세넥스에너지 가스전 사업 현장과 캐나다 양극재 생산법인 얼티엄캠(UCAM) 공사 현장을 방문해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사업 현황을 점검한 바 있다. 또한 5월에는 국내 기업 최초 해외 자원 전문 연구소인 호주 핵심자원연구소 개소식에도 참석하는 등, 철강과 2차전지소재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영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