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 첫 회의 개최
[시사뉴스피플=김태균 기자] 정부가 이태원참사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공식 추모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국무총리실은 4일 오후 서울정부청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이하 추모위) 회의를 열고 위원회 운영 세칙과 향후 추모사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이태원참사 희생자 159명을 기리는 묵념으로 시작됐다. 이어 김 총리는 유가족 추천을 받아 위촉된 민간위원 6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민간위원은 △김종훈·김덕진(인권 분야), △권은비(재난·안전 및 추모시설), △조문영(문화), △설문원(문헌정보), △황필규(법률) 등이다.
위원회는 김 총리가 위원장을 맡고, 정부 측에서는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참여한다. 민간위원 6명을 포함해 총 9인 체제로 운영된다.
김 총리는 위촉식에서 “유가족 추천으로 함께해주신 위원님들의 위촉에는 진실을 기록하고 다시는 비극이 반복되지 않게 해달라는 유가족의 염원과 숭고한 사명이 담겨 있다”며 “우리 사회가 생명을 더 잘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끝까지 행동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추모공원과 기념관 등 물리적 추모시설 조성, 추모행사 및 추모재단 설립 등 주요 추모사업과 운영계획이 논의됐다. 또한 위원회의 실질적 운영을 위해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를 두고, 유가족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위원들의 다양한 제안도 나왔다. 위원들은 “추모사업 추진 시 피해자들의 의견을 사전에 수렴하고, 결정 이후에도 충분한 설명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억의 공동체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이 필요하다”며 기록 중심 추모 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아울러 “참사 당시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과 상인도 피해자로 봐야 하며, 이들과의 협력 역시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총리는 “위원들의 섬세한 제안에 깊이 공감한다”며 “각자의 전문성을 살려 추모사업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김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이태원참사로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를 잃은 아픔 앞에 무거운 책임감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그날의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도록 제도와 공동체, 그리고 국가의 안전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억하고, 책임지고, 반드시 바꾸겠다”며 “추모위원회의 활동이 안전한 대한민국을 다시 세우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