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러 정상 66년 만에 한자리에…반서방 연대 과시
[시사뉴스피플=한장선 선임 기자] 3일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린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기념 ‘전승절’ 열병식에서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나란히 등장했다. 냉전 종식 이후 처음으로 북·중·러 최고지도자가 공식 석상에 함께 선 것으로, 국제사회는 이를 미국과 서방에 맞선 전략적 연대의 상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날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천안문 망루에 올랐다. 시 주석의 왼쪽에는 김 위원장이,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자리해 세 정상이 중심 무대에 선 장면은 외신들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김 위원장은 두 정상과 웃으며 대화를 나누기도 했으며, 시 주석이 무기를 설명하는 듯한 모습도 포착됐다.
북·중·러 정상이 나란히 공개석상에 선 것은 1959년 중국 국경절 이후 66년 만이다. 당시 김일성 북한 주석,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가 망루에 오른 바 있다. 이번 재현은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북·중·러의 협력 구도를 드러내는 장면으로 평가된다.
외신들은 중국의 이번 열병식을 “서방에 대한 도전”으로 규정했다. 영국 가디언은 “세 정상의 공동 등장은 매우 인상적”이라며 “중국이 서방에 저항해 온 국가 정상들 앞에서 첨단 무기를 선보였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외신들은 “중국이 더 이상 외압에 굴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보냈다”며, 이번 행사가 대만과 그 지지국들에 대한 경고 성격을 띤다고 풀이했다.
이번 열병식에는 이란의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을 비롯해 26개국 정상과 정부 수반이 참석했지만, 서방 주요국 지도자들은 모두 불참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북·중·러 정상의 회동이 향후 지정학적 긴장 고조뿐 아니라 글로벌 에너지·무역 질서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