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창조경제 물꼬 트는 산학협력
창의적 사고를 통해 새로운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창조경제(creative economy)’시대가 도래했다. 우리 경제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정부가 강한 추진 의지를 밝힌 창조경제가 핵심 역할을 맡을 전망이기 때문이다. 용인송담대학교(총장 최성식)는 2009년부터 진행해 온 예비기술창업자육성사업의 주관기관으로 해당사업 참여자 44명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등 기술창업의 요람으로 그 역할을 다해오고 있다. 예비기술창업자육성사업으로 (주)네티스정보기술을 창업 보육해 창업 첫해임에도 불구하고 매출 20억 원을 상회하는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며 기업 사업화에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1년 창업보육센터를 개소한 이래 중소기업의 창업 및 기술개발 등 각종 사업화 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꾸준한 성장을 통해 지역 및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 또한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기술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에게 대학의 기술 인프라 지원을 확대하여 중견기업인으로 육성하는 산학협력 과정은 지난 2001년 영국의 경영전략가인 존 호킨스(John Howkins)가 밝힌 창조경제 시대를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대학의 역할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대목이다. 창의적인 산업인력양성을 통해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성장을 위한 창조경제를 대학의 산학협력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필수적인 수행 과제가 된 것이다. 2013년 약 2,000평 규모로 확장 완공한 용인송담대학교 창업보육센터는 보다 적극적인 기술창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용인송담대학교는 예비기술창업자와 더불어 도내 중소기업인의 성공창업을 위해 예비기술창업자육성사업 외에도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 청년프론티어창업지원사업, 중소기업융합지원센터 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북돋우기 위해 창업동아리 운영, 창업강좌 개설, 창업캠프 및 창업아이디어경진대회 개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창업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용인송담대학교 창업보육센터는 지난 2012년 중소기업청과 경기도청으로부터 창업보육센터 운영평가에서 각각 A등급을 받아 창업보육센터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육성과 창업지원기관으로서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무엇보다 전문성 확보를 통한 성공적인 기술창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 체계를 꾸준히 개선하며 산학연을 비롯해 지역 간 경계를 허물고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이 융합하는 창의적인 발상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창조경제 시대의 비전 수립에 대학의 산학협력이 새로운 프레임을 제시하고 보다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이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이 성공적인 사업수행으로 한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기술이나 경영뿐 아니라 기업에 부족한 각종 사업지도 및 성과향상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대한민국을 짊어지고 갈 역군을 양성하고 지원하는 전문 교육기관으로서의 책임이 어느 때보다 막중한 이때 국가 경쟁력의 바탕이 되는 중소기업 육성의 요람으로 용인송담대학교는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갈 것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대학 본연의 기능인 창의적인 기술 개발 인력 양성과 함께 지역산업과 연계한 산학협력의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학의 역할은 앞으로도 더욱 강화돼야 할 것이다. 대학의 인재양성 기능과도 밀접하게 연계된 산학협력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더욱 크게 기여하고 이는 또다시 교육에 대한 재투자로 이어져 기술창업기업의 지원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창조경제의 동력을 확보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히 요청받고 있는 산학협력은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더 많은 인프라를 양성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과 함께 성숙한 생태계 조성에 그간의 경험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양구 단장>
용인송담대학교 산학협력단
2001.03 창업보육센터 개소
2005.03 대학건물 일부 개축, 신축
2011. 창업보육센터 확장사업 선정
2012. 창업보육센터 확장 건립(총 공사비 7,583백만원)- 보육실 52실2012년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 선정
2012년 예비기술창업자육성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2년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사업 주관기관 선정
2012년 대학생창업아카데미 주관기관 선정
2012년 청년프론티어지원사업 주관기관선정
2012년 창업지원 사업비 : 753,682,000원
2012년 창업인원 : 2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