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論] 안철수의 ‘새 정치 개혁’은 성공할 수 있을까?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중앙운영위원장이 신당 창당에 합의한 지 2주 만에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3월16일 서울에서 신당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 대회를 가졌다. 신당의 명칭은 ‘새정치민주연합’으로 하고 3월26일에 신당 창당 대회를 가질 예정이다. 6•4 지방선거를 앞 두고 야권연대를 넘어 아예 새로운 정당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지율 정체로 인한 위기의식 때문에 ‘새정치’를 버리고 선거용 급조된 정당으로 전락하지는 않을지 의문스럽다.
2011년 하반기부터 광풍처럼 불어 닥친 ‘안철수 현상’을 등에 엎고 안철수 의원은 그 동안 ‘새정치’에 대한 많은 말과 약속을 해 왔다. 2013년 4월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를 통해 본격적으로 정치권에 등장하면서도 기득권을 내려놓고 정치개혁에 앞장 설 것을 기회가 있을 때마다 언급하며 국민들에게 약속해 왔다.
최근에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기존 양당제는 민생을 외면하고 진영논리에 매몰되어 증오와 분노의 정치만을 되풀이 한다면서 양당제의 불합리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런 불합리성을 타파하기 위해 “합리적 보수와 성찰적 진보”를 아울러는 개혁 신당을 만들겠다며 ‘새정치연합’을 구성했었다.
실제로 지난 1월21일 제주에서 신당 창당을 공식 선언하면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을 “기득권 세력”으로 규정하고 개혁대상으로 분명한 선을 긋기도 했다. 하물며 보수정당 새누리당보다 중도진보 성향이 강한 민주당에 더 세찬 비판을 했다. 안철수 의원은 2013년 말 광주에서 “민주당은 지역주의에 안주하고 혁신을 거부하는 세력”이라고 비난했다.
또한 지난 2월28일 역시 광주에서 “광주의 뜨거운 열기로 낡은 정치를 날려달라”며 민주당에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었다. 게다가 이번 6•4 지방선거에 민주당과 선거 연대는 없다면서 17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모두 후보를 낼 것이라고 일관되게 주장해왔으며 정치공학적 연대는 있을 수 없다는 단호한 자세를 견지했었다.
그러다가 느닷없이 3월2일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중앙운영위원장이 신당 창당을 통한 합당을 갑작스레 선언한 것이다.
이에 국민들은 적잖이 놀랐으며 실망감과 배신감마저 느낀 국민들도 적지 않다. ‘약속의 정치’가 무색할 정도로 안 의원의 행보는 자기기만적이고 ‘구태정치’를 답습하는 것이다. 안철수 의원은 ‘새 정치’와 ‘약속의 정치’의 아이콘인데 이렇게 허망하게 약속을 깰 수 있는지 의아해 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안철수 세력’이 신당을 추진하면서 부족하고 불안정한 면만 보여왔다. ‘새 정치’에 합당한 노선도 구체화되지 않았고 새 정치에 걸맞은 인재도 부족했으며 조직도 제대로 정비되지 않았던 상태였다. 결국 한껏 기대에 부푼 국민들은 ‘안철수’란 ‘시대적 아이콘’을 향해 회의적인 시각이 고개를 들면서 급기야 안철수의 ‘새정치연합’의 지지도가 정체되거나 급락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런 절박한 상황에서 지지도가 바닥까지 친 민주당과 이해가 맞아떨어져 합당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다. 안 의원의 절박한 심정이야 이해 못 할 바는 아니지만 60년의 정치역사와 현역 국회의원 126명을 보유한 민주당과의 합당은 안철수 세력이 기존 민주당에 흡수되었다는 시각이 더 우세하다.
안철수 의원의 눈물겨운 필살기는 정치생명을 건 정치적 도박인 셈이다. 안 의원은 “새 정치 실현을 위해서라면 당내에서 치열한 싸움을 마다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호랑이 굴’에 스스로 들어 가 ‘새정치 개혁 투쟁’을 하겠다는 각오를 보이기는 했지만 민주당 내 강경세력과의 싸움은 녹녹치 않을 전망이다. 강성 친노세력과의 권력투쟁에서 이겨야 하고 6•15 정신과 10•4 정신을 잇는 민주당의 대북정책관을 어떻게 이겨낼 지 위태롭기 짝이 없다.
결국, 안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새 정치’의 명분을 혁신과 투쟁을 통해 가시화해야 한다. 우선 코 앞에 닥친 신당 창당과정은 구태를 벗어 던지고 쇄신된 면모를 갖추어야 한다.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6•4 지방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거나 적어도 선전한 패배를 하지 않으면 안철수 의원의 정치적 영향력은 급격히 추락될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운명 역시 정치공학적 ‘헌 정치의 이합집산’의 멍에를 안고 쇠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