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MO 표시제 지지하는 라벨(상)과 2014년 캠페인 참여(하) 모습 (사진=닥터브로너스)

[시사뉴스피플=전은지 기자] 10월 국정감사에서는 유전자변형식품(GMO)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우리나라는 GMO 수입 대국으로, 국내 유통‧식품 업체에서 대량으로 수입한 사실이 드러났고, 관련법이 개정되기도 했다. 북미에서도 GMO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미국 유기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닥터 브로너스’는 GMO 표시 의무화를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북미는 매년 10월을 ‘Non-GMO의 달’로 지정해 ‘Non-GMO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회적 활동을 펼치는 많은 기업들이 GMO표시 의무화와 ‘Non-GMO’를 선택할 권리의 보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GMO 표시제 법안지지, 제품 패키지 라벨 교체

미국 유기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닥터 브로너스’는 GMO표시 의무화를 주장하는 대표적 기업이다. 닥터 브로너스는 ‘소비자의 알 권리 보장’을 기업의 중요한 사회적 책임으로 여기며 GMO 식품 표시 의무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13년에는 GMO 표시제를 촉구하는 워싱턴 주민발의 ‘522(판매되는 음식과 곡물에 ‘유전자가 가공됐다’는 표시 의무화)’ 법안에 대한 지지의 뜻을 나타내고, 이를 지원하고자 제품 라벨을 전면 교체하기도 했다. 약 9백 만 달러(한화 약 103억만원)라는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면서 미국 전역에 유통되고 있는 자사 유기농 멀티 클렌저 ‘퓨어 캐스틸 솝’ 전 제품을 회수해 ‘GMO 표시제’ 찬성 투표를 권고하는 메시지를 담은 라벨로 교체한 바 있다.

또한 2014년에는 GMO 표시제를 촉구하는 오리건 주 92법안 지지 캠페인에 동참하기도 했다.

닥터 브로너스는 “GMO 제품 생산의 본격화는 화학 성분의 사용은 물론, 지속 가능하지 않은 생산 방식의 재등장을 의미한다”며 “우리는 이렇게 제조된 식품에 남아 있는 잔여물이 인간과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가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韓, 작은 변화의 움직임 일어나

우리나라에도 GMO 제품 사용 반대에 대한 활동이 일어나고 있다. 성북구는 지난 2010년 ‘Non-GMO’를 선언하고 친환경 무상급식을 실시 중이다. 성북구 내 학교들은 유기농 쌀과 김치, 무항생제 고기 등 식재료를 공동구매하고, 일부 학교는 GMO 콩이 들어있지 않은 전통장 등을 따로 구매해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스스로 권리를 지키고, 지구와 인간이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GMO 수입 대국인 우리나라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