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감 갖고 일할 시설관리직 필요

[시사뉴스피플=박용준 기자] 지난 3월 22일은 유엔(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 부산시와 상수도사업본부는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 먹는 물의 소중함을 일깨웠다. 특히 부산의 수돗물 ‘순수365’를 홍보하고 수돗물에 대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노력했다. 실제 부산의 수돗물은 고도의 정수시설로 엄격한 수질검사를 통해 공급하고 있다. 또한 외부전문가를 통해 수질평가를 공개하고 있는데, 지난 3월 수질검사에서도 일반세균과 페놀, 다이아지논, 납과 불소 등이 불검출됐으며, 유리잔류염소와 총트리할로메탄 등 건강상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물질 모두가 기준치 보다 현저히 낮게 나왔다. 

원수 문제, 부산과 경남이 아닌 도시권 문제
“부산시민들에게 언제나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송삼종 본부장의 말이다. 어떻게 보면 기관장으로 당연한 말이기도 하지만, 사실 부산시는 낙동강을 원수로 사용함에 따라 우려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낙동강 물의 수질은 점점 나빠지고, 녹조까지 심해지며 부산시민들의 걱정이 크다. 
이에 따라 원수 공급을 두고 부산시와 경상남도가 대립각을 세웠다. 정부에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했고, 합천군과 창녕군 등에서 강변 여과수를 개발해 부산으로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송삼종 본부장은 “지난 세월동안 부산이 먼저 원수 확보에 목소리를 냈기 때문에 마치 물 문제가 부산만을 위한 행정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사실 낙동강 물은 창원과 김해, 양산 등 도시가 형성된 지역 모든 시민들이 낙동강 물을 원수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매스컴의 잘못된 보도로 원수 문제가 부산만을 위한 것으로 인식됐다. 부산과 경남의 문제가 아닌 도시권들 모두가 갖고 있는 걱정이자 함께 해결해야 하는 것으로, 부산과 경남도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대로, 경남도 내에서 가장 큰 도시들과 부산은 원수에 있어서는 같은 입장이다. 양산 신도시의 경우는 부산과 같은 물금취수장을 사용한다. 부산과 경남도가 함께 해결해야할 과제인 것이다. 사실 강변여과수가 개발되면, 그에 따른 혜택도 창원과 김해 등이 더 크다. 정부안에 따르면, 일평균 90만t 공급에 동부경남에 48만t 나머지가 부산이다. 
송 본부장은 “원수 문제를 떠나, 부산시상수도본부는 녹조에 대비한 취수탑 설치와, 이물질 유입 원천 차단을 위한 미세여과망 설치, 간접급수체계 구축을 위한 배수지 확충 등 시설개선 사업에도 적극 나서, 부산시민들의 물에 대한 걱정을 해소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부산상수도본부의 기술인력은 세계 탑
송삼종 본부장에게는 꼭 해결하고 싶은 한 가지 걱정거리가 있다. 서울시와 같은 시설관리직 직군을 두어 정수장과 취수장 등에서 활약할 전문인력이 양성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
그의 말에 따르면. 2013년 12월 기능직 폐지 및 일반직 편입 등의 내용을 담은 직종개편안이 통과되면서 점점 전문성이 결여되고 있다고. 부산 상수도사업본부와 같은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수돗물 공급은 전문인력이 담당해야만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에도 발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는 말이다. 
송 본부장은 “기능직은 평생 한 업무에만 매진하는데, 이들이 퇴직하고 나면 앞으로가 걱정”이라며 “상수도사업본부의 전문인력을 보면, 대형사고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과연 이들이 필요하지 의문일수도 있지만, 이들이 지킴으로 해서 안전하게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전문인력들은 도면을 안봐도 알 정도로 머릿 속에 생산공정을 그리고 있으며, 생산현장의 소리만 들어도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바로 알고 대처할 수 있다”면서 “2년 정도 왔다가는 순환보직과는 다른, 책임감 있는 전문인력이 상주해야 부산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부산이 원수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적격을 받는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도 전문인력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라며 “취수장과 정수장 등에서 일하는 이들은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기술자”라고 고마워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