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흥사 범종 주지스님

 

훈민정음 세계화 통해 한글을 세계 공통 글자로
광흥사 범종 주지스님

[사진=광흥사 범종 주지스님]
[사진=광흥사 범종 주지스님]

[시사뉴스피플=편집국]광흥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재품리 학가산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때 의상이 창건한 유서 깊은 이곳은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통해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지만 1946년에 화재로 대웅전이 소실되었고, 1954년에는 극락전이 도괴되었으며, 1962년에는 학서루와 대방이 무너지면서 응진전이 중심 불전이 되었다고 한다.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이 나온 의미 있는 곳
광흥사의 중요문화재로는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이 되어있는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3~4’와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권1, 3’이 있다. 무엇보다 광흥사는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바로 이곳 광흥사 명부전 복장유물에서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이 최초로 발견이 된 것이다. 상주본은 국보 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과 똑같은 목판본으로, 상주본의 발견은 간송본이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위본이라는 주장을 없애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상주본을 통해 여러 권의 훈민정음 해례본이 인쇄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했다. 광흥사는 세종대왕이 한글 보급을 위해 불경언해를 간행하던 곳이자 조선시대 때 인쇄가 이루어진 곳으로, 훈민정음 보급의 중심지라 불리고 있다. 

광흥사는 조선 시대 초기 불경을 한글로 번역, 출간하기 위한 간경도감이 설치되어 있던 곳으로, 백성들에게 한글을 보급하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했던 곳이라 일컬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곳 광흥사에서는 세조가 지은 조선대장경의 효시라 불리는 월인석보의 초간본이 나오기도 했다. 광흥사의 범종 주지스님은 한글 보급에 큰 역할을 했던 역사가 있는 광흥사의 의미와 더불어 한글의 중요성, 훈민정음의 가치를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사진=광흥사 전경]
[사진=광흥사 전경]

오랜 시간 훈민정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펼쳐
범종 주지스님은 오랜 시간 한글과 훈민정음에 대한 깊은 연구를 펼쳐오며 훈민정음을 세계화시키기 위해 큰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우리도 그렇게 교육을 받아왔지만 정작 그 과학적인 힘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훈민정음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오면서 우리 훈민정음이 얼마나 과학적인지 몸소 깨닫게 되었습니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이고 논리적이지요. 그래서 저는 훈민정음으로 세계 공통 문자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장 빨리 터득할 수 있는 문자가 바로 이 훈민정음이기도 하지요. 훈민정음에는 영특한 사람은 하루 저녁, 우둔한 사람도 열흘이면 배운다는 내용이 나와 있는데요, 훈민정음의 원리대로만 따라하면 누구나 쉽게 한글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발음 기호와 스펠링이 다른 로마자와는 다르기 때문이지요. 한글은 17자의 자음과 11자의 모음을 통해 1만1천172가지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개의 우는 소리를 예로 들어볼까요? 영어로는 ‘바우바우’, ‘형형’ 정도로밖에 표현할 수 없지만 한글은 ‘멍멍’, ‘월월’, ‘깽깽’, ‘끙끙’ 등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색을 표현할 때도, 맛을 표현할 때도 무척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지요. 그것은 단순히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인데요. 그래서 한글은 감성의 글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훈민정음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범종 주지스님은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한글들 터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권의 책에 담긴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바로 훈민정음도다.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직접 훈민정음도를 만들었습니다. 훈민정음도의 그림을 보면 노래만 듣고도 한글을 터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1절부터 4절, 8절까지 노래를 하면 한글을 모두 깨우치게 되는 것이지요. 이 그림 훈민정음도를 통해 누구나 하루 저녁이면 한글을 터득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사진=프랑스 문화원에서의 강의 ]

한글, 세계 공통 문자될 수 있어
범종 주지스님은 훈민정음의 세계화를 위해 훈민정음정신세계화연구회(이사장 최낙원)를 만들기도 했다.으며 훈민정음정신세계화연구회의 총재로 추대되었다. “훈민정음정신세계화연구회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고본향인 우리 광흥사를 중심으로 훈민정음 창제의 의미를 기리고 훈민정신 선양 사업의 진행을 위해 각계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훈민정신은 훈민정음 창제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문자의 제작, 운용 원리를 바탕으로, 일반 백성들에게 문자를 알리고자 한 세종의 정신과 불교의 이타심은 그 의미가 같다고 봅니다. 문자를 제작하는 데에서 드러나는 제자의 원리는 범어의 원리와 통하고 있지요. 진정한 훈민의 정신을 알리면서 다양한 연구와 사회사업을 이끌어갈 계획입니다.”

범종 주지스님은 우리 한글은 “디지털에도 최적화된 글자”라고 말하며 “한글이 세계 공통 문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글은 모음과 자음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적인 문자입니다. 가장 쉽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이며 합리적인 방식의 문자 한글은 충분히 세계 공통 문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이 저의 바람이고, 그 날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