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피플=박용준 기자]
국회융합혁신경제포럼(대표의원 : 김성태(자유한국당))이 지난 11일 ‘뉴노멀(New Normal)시대의 방송·통신분야 거버넌스 개편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IT리더스포럼, 한국 SW·ICT 총연합회와 함께 공동개최했다. 국회융합혁신경제포럼 관계자는 “80여개의 달하는 ICT·SW단체가 후원사로 참여함으로써 차기 정부의 방송·통신 분야 거버넌스 방향에 대한 목소리를 대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성태 국회융합혁신경제포럼 대표의원은 “다보스포럼에서 밝힌 제4차 산업혁명은 독일 Industry 4.0의 제조업을 기반으로 발표한 것으로서 급변하는 미래를 온전히 담아내기 위해서는 한계가 분명하다”면서 “앞으로의 사회는 기존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진 전 영역에 걸친 융합으로 나타날 것”이라 강조했다.
또 “국가혁신위원회는 부처 간 혁신업무를 조율 및 결정하며 예산의 배분까지 담당하게 될 것이며, 간사부처인 융합혁신부는 국가차원의 부처 혁신을 선도해가며, 각 부처의 혁신업무 또한 지원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덧붙였다.
제4차 산업혁명의 화두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며 대한민국의 ICT 첨단기술과 전통산업의 융합이 전 영역에 걸쳐 나타나고는 있으나, 실상은 강력한 법·제도 및 부처 간 칸막이로 인해 비효율적인 정책집행이 이루어진다는 지적들이 지속되어왔다.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ICT의 고도화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각 분야와 효과적으로 융합?확산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므로, ICT와 제4차 산업혁명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에 잠재된 전통적 사고방식의 혁신과 새로운 미래형 가치 창출 및 미래일자리를 만드는 구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ICT 컨트롤 타워의 정립이 절실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