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현장의 병폐 ‘재하도급’,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따라야

(사진=SBS 불타는 청춘이 방영된 부산 송도 현장으로, (주)구덕종합개발이 철거한 곳이다. 이 지역은 향후 바다 뷰가 일품인 명품 아파트가 건설 될 예정이다.)

[시사뉴스피플=노동진 기자] 분양시장에서 수요자들의 선택은 여러 사안 중 브랜드를 우선으로 꼽는다. 특히 정비사업에서는 가격이 비싸더라도 단연 1군 브랜드 업체를 선호한다. 지역 업체가 설자리를 잃고 있는 이유다. 타 건설 현장도 마찬가지다. 살아남기 위해 저마다 남다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대기업에 맞서기에는 자금이나 인력 등 모든 부분에서 열악한 실정이다.

부산에 위치한 철거공사 전문업체인 (주)구덕종합개발도 예외는 아니다. 반면 이 기업의 경우는 수도권 소재 대기업과 맞서면서도 승전보를 울린다. 비결에 대해 이 기업 이안호 대표이사는 “내가 보고 배우면서 가장 잘 하는 것이 철거공사다. 단연코 전국 최고라고 자부한다”면서  “사실 수도권 업체와 기술적인 차이는 없다. 때문에 최소한 부산의 공사만큼은 뺏기지 않기 위해 적극 노력했고, 덕분에 가장 많은 현장을 보유하고 있는 결실을 얻었다”고 밝혔다.

‘현장형’ 대표이사
(주)구덕종합개발 이안호 대표이사의 업력은 올해로 29년 차다. 사회의 첫 발이 동종업이었고,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 누구보다 노력한 그다. 어느 덧 부산 최대 철거공사 업체로 성장했다.
사업분야도 재건축/재개발 철거와 건물해체작업, 구조물해체공사, 석면철거, 내부철거, 산업구조물철거, 코아천공, 노면컷팅작업, 와야쇼작업, 하스리작업, 폐기물운반 처리, 장비대여 등으로 확장했다.
부산의 굵직한 현장을 도맡아 하면서 어느 덧 시행사 업무도 맡게 됐다. 현재 송도와 충무, 부암 등 부산을 변화시킬 핵심 사업들이 진행 중에 있다.
이안호 대표이사는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이 정답”이라면서 “평소 늘 현장을 누비며 직접 일을 하고 있기에 회사가 자연스레 성장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실제 지난 6월 17일 만난 이안호 대표이사는 검게 그을린 피부가 인상적이었다. 이날도 현장에 갔다 오다 약속시간보다 다소 늦게 도착했다. 즉시 현장에 투입하기 위해 복장부터가 간편했다. 그의 안전화에서도 ‘현장형’ 대표이사라는 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현장마다 ‘안전관리자’ 상주
(주)구덕종합개발이 진두지휘하는 현장은 타 업체와는 달리 ‘안전관리자’가 상주한다.

한 푼이라도 아껴야만 하는 현장에서 보기 드문 경우다. 각 현장마다 안전 책임자를 두고 있기에 안전사고는 거의 전무하다.
또 다른 특징은 일과가 끝나기 1시간 전에 정리정돈의 시간을 가지는 점이다. 시민들과 지척거리의 현장이기에 주변에서도 보기 좋고,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장비활용에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지역 주민들을 위해 살수도 수시로 한다.
타 현장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이안호 대표이사는 “일감을 직접 수주했기에 타 현장과는 달리 보다 신경을 쓸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것”이라며 “재하도급을 받는 업체의 경우는 생존과 직결되기에 부대비용을 아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재하도급...결국 부실로 이어져  
이 대표이사가 칭하는 재하도급 문제는 사실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개선해야 된다는 목소리는 매년 불거지지만 현실은 여전히 하도급에 재하도급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분명한 것은 하도급으로 이어지면 결국 단계마다 이익을 남겨야 하니 공사 자체가 부실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법의 사각지대를 찾은 편법도 득실거린다. 공사 능력도 없는 업체가 낙찰을 받고 하도급을 주는 사례는 물론 여러 등록업체를 갖고 낙찰만을 목적으로 하는 업체들도 많다.
이에 대해 한 업체 관계자는 “등록기준이 낮아 업체가 난립되었고, 동종업계들의 제 살 깎기 경쟁이 이어져 부실공사는 당연한 것으로 치부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안호 대표이사는 “서울의 경우는 입찰부터가 서울과 경기 업체만 가능하다. 하지만 부산은 전국 모든 업체가 가능하다. 최소한 부산 몇 팀, 서울 몇 팀으로 입찰을 제안하는 등 부실공사를 막을 수 있는 하도급 관련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철거업체의 경우 10년 전이나 단가가 같다. 반면 인건비와 자재비 등은 매년 상승했다. 하도급이 행해지는 형태 자체가 철거 작업이 부실해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이안호 대표이사는 “부도는 재하도급에서 나온다. 고치면 전부 이익을 생길 수 있는데, 왜 진척이 안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했다.

(사진=(주)구덕종합개발)

정부의 현실적인 대책 마련 시급
편법은 고용에서도 이어진다. 현 노동법상 건설근로자의 노후복지 향상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건설근로자 퇴직공제제도’는 일용직이나 임시직 건설근로자가 퇴직공제제도에 가입한 건설 현장에서 일하게 되면, 건설사업주는 건설근로자공제회에 근로일수를 신고하고 그에 맞춰 공제부금을 일정 비율로 내 재원을 마련해 252일 이상 퇴직공제부금을 적립하면서 건설근로자가 퇴직이나 사망, 또는 60세에 이르렀을 때 지급하는 법이다.
그러나 일부 업체들은 고용에 있어 법의 테두리를 벗어난 편법으로 며칠 일용직을 고용한 후 퇴사로 처리한다. 능률 좋은 일용근로자가 있어도 퇴직금을 지급해야하는 규정으로 인해 신규 일용근로자를 쓰는 경우가 발생한다.
업체들 입장에서도 할 말은 있다.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입찰서에 일용근로자에 대한 부분이 없기에 결국 수익에서 의외의 돈이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최저가 낙찰과 재하도급으로까지 이어진다면 사실상 수익이 없기에 편법으로 갈 수 밖에 없다.
업계들은 “노동자 법은 갈수록 혜택이 좋아지고 있다. 나쁘다는 말은 아니지만, 사업주에 대한 측면도 고려해줬으면 좋겠다. 사실 국내에 사업자를 위한 법안은 단 1도 없다”고 말했다.

(사진=부산 연제구청)

사회환원에도 앞장
요즘 부울경 지역 기업들을 취재하다보면 ‘정말 어렵다’는 말이 유행어다. 실제 생사의 갈림 길에 놓여 있다.
건설업계도 좌불안석이다. (주)구덕종합개발의 경우도 녹록치 않은 시장 상황이다. 철거현장에서 빠지지 않는 ‘알박기’는 연일 발목을 잡는다. 피해는 개발을 원하는 원주민들이 몫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점은 (주)구덕종합개발은 하도급에 대한 피해는 없는 점이다. 적은 수익이라도 부실없는 안전한 시공으로 보답하고 어려운 이웃들과 나누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따르기에 선전을 이어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주)구덕종합개발은 지난 1월에도 사회환원에 나섰다. 바로 부산 연제구청을 찾아 겨울철 생활이 어려운 주민들을 위해 써달라며 성금을 기탁한 것. 이어 부산진구청에도 따뜻한 손길을 건넸다.
이안호 대표이사는 “소외된 이웃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직원들의 뜻을 모아 이웃돕기에 동참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기업이 기탁한 성금은 부산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연제구와 부산진구의 소외계층을 위해 사용됐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