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주조분야의 발전 도모

용산전쟁기념관의 6.25 50주년 기념 탑 및 형제상, 포항 해변에 위치한 새천년 맞이손, 여의도 세종대왕상에는 공통점이 있다. 국내 최대의 미술주조 업체인 동신미술의 작품들이다. 이제 청동주물을 비롯한 정밀주조의 조형물은 도시 미관을 장식하는 필수요소가 되었다. 조형물은 단지 미적인 아름다움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치밀한 과학적 이론과 기술력에 미적인 감각이 더해져 탄생하는 것이 조형물이다.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동신미술 주조는 1974년 서울 목동에 설립되어 운영하던 중 목동 신시가지 개발로 인해 1983년 사업장을 더욱 확장하여 지금의 고양시로 이전했다. 동신미술은 전 직원의 정성과 최고의 기술로서 국내 미술분야 조각계에 브론즈 작품을 제작하는 청동주조 공장이다. 제일의 기술과 장인정신의 긍지를 가지고 있는 동신미술의 문형자 대표는“조각 문화의 발전과 조각 작품의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전했다. 그 결과 동신미술은 한국 미술협회 지정업체로도 선정되었다. 문 대표의 차분한 인상과 침착한 성격은 정밀주조에 대한 장인 정신을 부각시키기에 충분했다.
국내의 국,공,민 단체의 크고 작은 조형물은 거의 동신미술에서 제작해 설치하고 있다. 동종업계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동신미술은 많은 인원으로 최고의 기술진과 최신장비 및 시설, 공장을 갖추고 있어 국내 예술 조각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1975년 천안 태조산 각원사에 동양최대의 청동좌불의 조성과 더불어 우리나라 조형물의 상징인 88올림픽공원의 조형물을 이후로는 수많은 외국 작가들의 조형물을 제작하고 있다.

섬세함을 주조할 수 있는 내구성
동신미술은 주조의 모든 과정을 담당한다. 그 중에서도 주로 청동주조를 전문으로 한다. 대형작품들의 경우 일반주조로 제작을 하고 예술작품은 정밀주조를 한다. 동신미술의 정밀주조에 사용되는 주재료는 전량 수입이다. 호주산 고운규사와 수입액체코팅제를 주로 사용한다. 좋은 재료는 조형물의 중요한 요소로 조형물의 가장 중점적인 안전도와 같다. 문형자 대표는“깨끗한 세공, 아름다운 색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정밀주조는 지문과 같은 섬세함을 주조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손수 심혈을 기울여 작업해야 하는 수공업이다. 아주 까다롭고 미세한 부분까지 원형 그대로 복원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밀주조는 초상조각이나 인물상에 주로 쓰인다. 일반적인 주조법에서는 제조가 곤란한 형상의 것, 표면정도가 높은 것, 재질이 치밀하고 안정한 강도를 특히 필요로 하는 것 등의 주조에는 각각 특수한 주조법이 행해진다. 국내에 정밀주조기술이 도입된 지도 20여년 가까이 되었지만 아직 괄목할만한 발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전반적으로 국내 시장의 협소함과 고부가가치 제품 제작을 위한 기술부족, 인력부족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업체가 규모 및 기술면에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품기술의 고급화를 위해서는 기반기술 분야의 발전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핵심기술의 하나인 정밀주조분야의 발전을 위해 제조업자뿐만 아니라 학계, 연구소, 지원기관 등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청동작품주조 및 정밀주조 분야 후진 양성 부진
문 대표는“국내에서 가장 큰 청동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에 모든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감상하는 것을 볼 때마다 큰 보람을 느낍니다.”라고 밝혔다. 정밀주조는 조각 작품을 만드는 작가의 예술적 감각과 청동 작품으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서 서로가 상부상조한다는 마음가짐이 생겨난다. 문 대표는“예술이란 예부터 우직하고 우둔한 사람들이 꾸준히 노력하고 생각해야만이 좋은 작품이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한 가지 안타까운 것은 청동주조 작업을 이어갈만한 후진 양성이 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라고 전했다. 현재 청동주조에 종사하는 기술자는 적게는 50명에서 100명 안팎이다. 100%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청동주조 작업이기 때문에 사업주들은 실질적인 인력난에 허덕이는 것이 현실이다. 이밖에도 쉬운 작품만 하려는 조각가들이 일부 있어 작업 물량도 현저히 줄어들고 있고, 그 수요 또한 많지 않다. 최근에는 국내 청동주조 예술 정밀주조 산업의 위기라고 지적되기도 한다. 문 대표는“예술작품을 만들고 그 안에 혼을 넣는다는 생각으로 자부심을 가지고, 장인정신을 가지고 지탱해 나가기 위해 문화예술계의 지원이 요구됩니다.”라고 말했다. NP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