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시사뉴스피플 진 태유 논설 위원]
[사진=시사뉴스피플 진 태유 논설 위원]

[시사뉴스피플=진태유 논설위원] 미국 우선주의의  ‘트럼프 시대’는  공식적으로 역사적 뒤안길로 사라졌다.  트럼프 집권 4년간의 미국과 유럽의 반목 끝에 G7 7개국의 지도자들이 ‘다자주의’ 이념으로 함께 정책을 펴나갈 의지를 표명했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월 19일 화상회의를 통해 첫 번째 G7 정상 회담에 참여한 후 "미국의 다자주의의 귀환"과 또 다른 가상포럼인 뮌헨 안보회의(Munich Security Conference)에선 미국-EU 동맹의 귀환을 선언했다.

이에 안젤라 메르켈(Angela Merkel) 독일 총리, 엠마누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 옌스 스톨텐베르그(Jens Stoltenberg) NATO 사무총장, 보리스 존슨(Boris Johnson) 영국 총리는  G7의 새로운 화합과 도약을 환영했다.

하지만 G7의 이러한 ‘다자주의’ 선언은 지금 이 시간에도 시험을 받게 됐다. 그것은 전 세계에 Covid-19 백신의 분배와 관련된 문제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지금 이 시간 선진국 국민들은 백신접종에 선택의 폭이 넓지만 저개발 국가 국민들에겐 아직 백신제가 공급되지도 않은 실정이다.

1월에 다보스(Dabos) 경제포럼에서 남아공의 시릴 라마 포사 대통령은 부유 한 국가들이 "백신을 독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G7 국가들의 자국 우선주의 인해 러시아와 중국이 아직 세계보건기구(WHO)의 승인을 받지 않은 백신을 아프리카 국가들에 기증하고 있다.

G7는 주문한 백신제의 배달이 지연되고 제약회사들의 생산능력도 충분하지 않아 좌절감에 빠져있는 상황이다. 이런 마당에 전 세계에 백신을 균등하게 분배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있는 여력이 있겠는가.

사실, 지난 해 6월에 만들어진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 백신연합(Gavi), 세계보건기구(WHO)가 운영하는 코벡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는 약 200개국 국민의 20%를 예방하고 전염병의 피해를 입은 최빈국을 위한 자금지원 체계를 계획한 바 있다. ACT-A 2021 우선 전략 및 예산안은 이 계획의 속도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따라서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미국과 유럽이 선량의 5%를 아프리카 국가에 할당할 것을 제안했다. 그의 제안에는 할당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G7 내에서 곧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WHO에 복귀한 미국은 코벡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에 43억 달러를 기부한다고 발표했다. 독일은 15억 달러를 기부할 예정이고 유럽​​연합은 참여를 두 배로 늘려 10억 유로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역시 잉여금을 기부할 예정으로 있다. 또한,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은 아프리카에서 의료인들의 우선순위 예방접종을 위해 1,300만개의 복용량이 확보되기를 바라고 있다.

이처럼 다자주의에 입각한 시도는 좋지만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세계적 전염병을 신속히 막기 위해선 인류 최악의 응급적 상황을 인정하고 의학적·경제적 과정들이 일상화에서 벗어난 신속한 절차체계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접근 가능한 현실적 가격정책과 함께 세계적 수준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선진국 제약회시들이 협력하는 일이다. 이것이 G7의 다자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당장 눈앞에 놓인 필연적 과제이자 진정한 도전이 될 것이다. NP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