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피플=노동진 기자] 정부가 인력운영 효율화 방안을 발표했다.
각 부처에서 매년 1%, 5년 동안 5%를 통합활용정원으로 별도 관리해 재배치하기로 했다.
13알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원을 일종의 풀 개념으로 공동으로 관리 활용하는 통합활용정원제를 도입하여 매년 부처별로 정원의 1%를 감축하고, 감축된 정원은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필요부처에 지원하도록 하겠다“며 모든 부처를 대상으로 기능기구인력 운영실태 점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통합활용정원제가 추진되며 매년 각 부처 정원의 1%, 5년 동안 5% 통합활용정원으로 관리해 필요한 부처에 재배치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A, B, C 등 세 곳에서 30명이 감축된다면, 이 30명을 통합활용정원제에 넣어 반도체육성, 코로나 소상공인 지원 등 인력 부족 부처에 배정하며, 이를 통해 정부는 인력 규모를 유지하면서도 탄력적인 인력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경찰공무원 경우 증원보다 기존 인력 조정을 활용하고, 교원도 중장기 교원수급 계획에 따라 인력을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 역시 5년간 기준인력을 2022년 수준으로 유지하고, 인력증원이 아닌 재배치로 우선 대응할 방침이며 또 재배치 목표관리제를 통해 지방공무원의 1%를 매년 재배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기관별 장관의 재량으로 필요한 기구를 신설해 운영할 수 있는 장관 자율 기구제를 도입해 각 부처 조직관리의 자율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각 부처는 8월 말까지 자체적인 조직 진단 결과를 행안부에 제출하고, 민관합동 조직 추진단이 9월부터 결과를 확인한 이후 현장 종합진단을 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