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곤잘레스 올라에체아 페루 외교부 장관, 에두아르도 레이나 온두라스 외교부 장관, 카를로스 페레이라 쿠바 외교부 양자총국장 등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 참석자들을 합동접견하고 있다.(사진=국무조정실)
한덕수 국무총리가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곤잘레스 올라에체아 페루 외교부 장관, 에두아르도 레이나 온두라스 외교부 장관, 카를로스 페레이라 쿠바 외교부 양자총국장 등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 참석자들을 합동접견하고 있다.(사진=국무조정실)

[시사뉴스피플=한장선 선임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 참석 계기 방한한 중남미 6개국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인사를 합동 접견하고 한-중남미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했다.

< 접견인사 (국명 알파벳순) >
△ (칠레) 아우로라 윌리암스(Aurora Williams) 광업부장관
△ (쿠바) 카를로스 페레이라(Carlos Pereira) 외교부 양자총국장
△ (도미니카공화국) 조아네스 켈너(Johannes Kelner) 산업통상중소기업부차관
△ (과테말라) 헥토르 마로킨(Hector Marroquín) 경제부차관
△ (온두라스) 에두아르도 레이나(Eduardo Reina) 외교부장관
△ (페루) 하비에르 곤잘레스-올라에체아(Javier González-Olaechea) 외교부장관
△ (OECD) 호세 알다빈(Jose Ardavin) 대외관계국 중남미 총괄과장

한 총리는 많은 중남미 국가들이 6.25전쟁에서 한국을 지원하는 등 오랜 우방국으로서 한-중남미가 국제무대에서 다양한 협력을 지속해온 점을 평가하고, 올해 2월 한-쿠바간 외교관계 수립은 한국이 모든 중남미 국가들과 외교망을 완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강조하였다.

한 총리는 지난 2차례 중남미 방문을 통해 우리 정부의 대중남미 협력 의지를 강조한 바 있다고 언급하고, 세계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중남미간 핵심광물, 방산, 인프라, 친환경 등 분야에서 상생 협력을 확대중인 만큼, 현지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이러한 협력에 지속 기여할 수 있도록 관심과 협조를 당부하였다.

또한, 한 총리는 북한이 위협적인 언사와 도발을 통해 안보 위협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하고, 우리 대북정책에 대한 각 국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지를 당부하였다.

중남미 6개국 고위인사들은 2024 한-중남미 미래협력포럼이 한국과의 새로운 협력 분야를 모색하는 데 유익한 기회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에너지, 광물, 교육, 기후변화, 의약품,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한국 기업의 중남미 투자 확대를 기대하고, 한국 기업의 활동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