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물가안정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9차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물가안정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시사뉴스피플=박일봉 대 기자] 정부가 최근 호우·폭염 등으로 가격이 상승한 배추 수급 안정을 위해, 이달 중 수급 상황을 보고 비축 물량을 하루 최대 400톤까지 확대 공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9일 김범석 기재부 제1차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9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해 농축수산물, 석유류 등 품목별 가격동향 및 물가안정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 차관은 “최근 중동 정세 불안에도 국제 유가 및 국내 석유류 가격이 둔화세를 보이는 가운데 장마 이후 폭염 영향으로 채소류 등 일부 농산물 가격이 전월보다 상승했으나, 작년 8월과 비교하면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다만,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여름철 기상이변 등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인 만큼 관계부처는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소관 품목에 대한 물가안정 노력을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최근 호우·폭염 등으로 가격이 상승한 배추 수급 안정을 위해 배추 재배면적 확대(예비묘 200만주 활용)를 통해 1천톤 수준의 추가 공급여력을 확보하는 한편, 8월중 수급 상황을 보아가며 필요시 비축 물량을 일 최대 400톤(가락시장 일평균 반입량의 85% 수준)까지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배추 계약재배 농가에 30% 이상 할인된 가격으로 병충해 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축산농가에 차광막, 환풍기 등 폭염 대비 시설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중동지역 갈등 재확산에도 석유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관계기관·업계와 함께 비상대응 체계를 지속 유지하는 한편, 석유·가스 등 핵심 안보 자원에 대해서는 평상시 공공부문 중심 상시 비축과 별도로 위기 발생시 비축기관 확대, 추가 비축의무를 부과하는 이원화된 비축 체계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