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4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을 개최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부산시는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4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을 개최해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시사뉴스피플=노동진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위원장 김상협)와 4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세계 기후·에너지 분야의 국제적 논의의 장인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9.4.~9.6. 벡스코)의 주요 콘퍼런스이자, 대통령직속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권역별 포럼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는 박 시장, 김 위원장을 비롯해 순환경제 분야의 각계 전문가와 기업가, 시민단체 관계자,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조강연 △발표분과(세션) △토론분과(세션)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순환경제와 관련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자원순환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부산의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알렉산더 마이어 줌 펠데 보스턴컨설팅그룹 순환경제 글로벌리더가 ‘순환경제와 미래’를 주제로 기조 강연을 했다.

발표분과(세션)에서는 강홍윤 인하대 교수, 김호은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 최윤찬 시 탄소중립지원센터 대외협력팀장이 각각 ‘지속가능한 자원관리와 산업계 대응 과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자원순환 정책 방향’, ‘순환경제 도시 전환을 위한 부산시의 대응’을 발표했다.

토론분과(세션)에서는 신현석 부산연구원장을 좌장으로 이민종 엘지(LG)화학 서큘러(circular, 순환) 사업개발 담당, 권기백 테라클(주) 대표, 양승훈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가 ‘지역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관·산·학 협력 방안’에 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4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박형준 부산시장이 4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탄소중립·녹색성장 부산 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박형준 시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순환경제 분야의 전문가들과 국내외 동향을 공유하고, 부산의 순환경제 전환 촉진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우리시는 탄소중립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앞으로도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위한 다양한 제안과 아이디어를 듣고, 이를 시정에 적극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김상협 위원장은 개회식에서 “자원 순환경제는 단순한 경제적 효용성을 넘어 미래 세대를 보호하는 핵심 전략”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사회와 정부, 산업계가 협력하여 혁신적인 자원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나가는데 중요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부산에서 열리는 유엔 플라스틱 협약 정부간 협상위원회에서도 대한민국이 이러한 순환경제 모델을 글로벌 무대에서 선도적으로 제시하고, 글로벌 환경 리더로서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 서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