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freepik)
(사진=freepik)

[시사뉴스피플=김시동 기자] 보건복지부는 6월 9일부터 한약 실험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약 실험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범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한국한의약진흥원 누리집(https://nikom.or.kr/klims)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관심 있는 누구나 이메일(klims@nikom.or.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연구자와 산업계 종사자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한약 실험정보 관리 시스템’은 산재된 한약 관련 실험 데이터를 한 곳에서 관리·검색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플랫폼으로, 한약재 및 처방 실험정보 검색 기능, 논문 내 키워드 자동 분석, 논문 속 표 이미지 파일화 기능 등 3가지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한약 실험정보 관리시스템 화면 (사진=보건복지부)
한약 실험정보 관리시스템 화면 (사진=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시범 운영 기간 동안 수집되는 사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보완·개선하고, 오는 2026년 정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식 서비스에는 한약재별 세부 실험정보는 물론, 네트워크 약리학 기반의 한약재-질병 간 상호작용 분석 기능도 포함될 예정이다.

특히 보건복지부는 향후 인공지능 기반의 신효능 예측 모델과 대화형 챗봇 서비스를 추가해 시스템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네트워크 약리학은 약물과 다양한 생물학적 네트워크 간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석해, 기존의 단일 표적 접근법을 넘어서는 통합 약리 분석 기법이다.

정영훈 보건복지부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시범 서비스를 통해 한약 실험정보 활용 기반을 마련하고, 정식 서비스 이후 한약의 과학적 분석과 예측 기능을 대폭 고도화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