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기념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기념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시사뉴스피플=손동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8일 “방위산업이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기념 토론회 ‘K-방산, 미래의 길을 찾다’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은 여전히 전쟁이 끝나지 않은 분단국가이자 군사적 긴장이 높은 지역 가운데 하나”라며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를 뒷받침하는 핵심 기반이자, 이제는 세계적인 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를 지키는 역할과 함께 일자리 창출, 국가 위상 제고에 기여하는 미래 전략 산업”이라며 “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정부는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장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경청하고, 정부 차원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AI, 무인 로봇 등 첨단 무기 체계 개발을 통한 제품 경쟁력 향상과 중소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는 건강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방산 수출 확대 등을 정부가 적극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비공개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AI 기술의 중요성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이들은 기술력 확보, 인프라 구축, 국방 데이터 접근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국방 데이터의 통합 관리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날부터 시행된 방위산업발전법 개정안을 언급하며 “방위사업청을 넘어 ‘방위산업청’ 수준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스타트업 대표들은 “스타트업이 대기업과 직접 경쟁하는 방식보다는 컨소시엄 형태의 참여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제안했으며,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방위산업은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중소·벤처기업에도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방산 수출 컨트롤 타워 설치를 국무회의에서 이미 지시한 바 있다”며 “방위산업은 안보와 민생을 함께 책임지는 중요한 산업인 만큼, 민관이 함께하는 생태계 전환과 국제 협력 확대에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