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피플=이수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가 지난 12일 ‘정부-이통사 인공지능 투자협력 선언식’을 열고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민관 공동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2002년 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3,000억 원을 출자해 설립한 한국정보통신기금(KIF)의 존속 기간을 2030년에서 2040년 말까지 연장한 데 따른 것이다. KIF는 올해 1,500억 원을 신규 출자하고, 운용사 연계 자금 1,500억 원 이상을 더해 총 3,000억 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한다.
투자금 가운데 2,400억 원 이상은 AI 핵심·기반기술 및 AI 전환·활용(AX) 분야 유망 기업 육성에 투입된다. 이와 별도로 AI 반도체 전용 400억 원, ICT 기술사업화 촉진 및 성과 확산을 위한 200억 원 펀드도 마련한다.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배경훈 장관을 비롯해 SK텔레콤 유영상 대표, KT 김영섭 대표, LG유플러스 이철훈 부사장,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관계자, KIF 투자운영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벤처투자사(VC) 관계자 200여 명도 자펀드 출자설명회에 동참했다.
행사에 앞서 열린 사전 환담에서 정부와 이통사 대표들은 AI 투자 확대 계획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본행사에서는 KTOA가 KIF의 운용 성과와 향후 AI 투자 비전을 발표했고, 정부·출자사·KTOA·투자운영위원회가 공동 결의 세리머니를 진행했다.
배경훈 장관은 “AI가 모든 혁신의 근원이 되는 시점에서 이번 자펀드가 국내 AI 기업 성장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정부도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간과의 투자·협력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5년도 KIF 자펀드 운용사(16개사) 공모 접수는 8월 28일까지 진행되며, 세부 내용은 KTO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