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피플=손동환 기자] 정부가 국가 비상대비태세 확립과 국민 생활 안정을 위해 8월 18일부터 21일까지 4일간 ‘을지연습’을 실시한다.
이번 훈련은 한·미 연합 군사연습과 연계해 ‘을지 자유의 방패(을지프리덤실드)’라는 명칭으로 진행되며, 전국 읍·면·동 이상 행정기관과 공공기관·단체, 중점관리대상업체 등 약 4천 개 기관, 58만여 명이 참여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을지연습에 앞서 지난 5일 국무총리 주재로 ‘2025년도 을지연습 준비보고회의’를 열고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올해 훈련은 드론, GPS 교란, 사이버 공격 등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신무기 위협에 대응하는 실전적 훈련 강화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중요시설과 공공시설을 겨냥한 복합 위기 상황을 가정한 합동 훈련을 진행해 범정부 차원의 통합 대응 능력을 점검한다.
또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는 기관장이 직접 주재하는 ‘1기관-1훈련’을 실시해 도로·전력설비 등 핵심 기반시설 피해 상황을 가정한 대응 절차를 숙달할 예정이다. 평시 행정체제를 전시체제로 전환하는 절차 훈련과 전시에 필요한 법령을 즉각 공포하는 훈련도 병행된다.
아울러 접경 지역 주민 이동, 서해 5도 지역 주민 수용·구호, 필수 에너지 공급 유지 훈련 등 국민 생활 안정과 직결되는 대응 훈련도 진행된다. 20일에는 공습 대비 대피 훈련과 소방차·구급차 길 터주기 훈련 등 전 국민이 참여하는 민방위 훈련이 함께 실시된다.
다만 산불과 호우 피해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은 신속한 복구 지원을 위해 을지연습 대상에서 제외된다.
김정학 행정안전부 비상대비정책국장은 “올해 을지연습은 변화하는 안보 위협 속에서 국가 위기관리 능력을 점검하고 국민 생활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 훈련”이라며 “각 기관이 실전과 같은 자세로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