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에너지 절감 우수사례를 확인하고, 확산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자료사진)
스마트팜 에너지 절감 우수사례를 확인하고, 확산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자료사진)

[시사뉴스피플=김시동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2026년 예산을 전년 대비 6.9% 늘어난 20조350억 원으로 편성했다. 사상 처음 20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정부는 이번 예산을 통해 농업을 식량안보를 지키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내년도 예산은 기후위기 대응, 재해 대비 국가 책임 강화, 청년농 육성 등 세대 전환, 지역 균형성장, 인공지능 전환(AX) 기반 확충 등에 중점 배분됐다.

농식품부는 쌀 수급 안정과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을 4196억 원으로 확대(전년 2440억 원)하고, 콩 비축량도 6만 톤으로 두 배 늘린다. 쌀 자조금 제도를 신규 도입해 소비 기반도 강화한다.

또한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를 위해 참여 산지에 맞춤형 바우처(186억 원)를 지원하고,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확충(60곳→115곳) 등 유통 인프라 개선에도 나선다.

공익직불제 중 선택형 직불을 5164억 원으로 확대해 농가 소득 안정망을 강화하고, 농작물재해보험·수입안정보험 지원 규모도 늘린다.

세대교체와 경영 규모화를 위해 공공임대용 농지 매입을 1조6170억 원으로 확대하고, 청년농·농업법인 지원을 강화한다.

정부는 농업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한 ‘국가 농업 AX 플랫폼’에 705억 원을 투입한다. 노지 스마트농업 확산(103억 원), 중소농 스마트팜 모델 보급(21억 원) 등도 포함됐다.

농식품 R&D 예산은 전년 대비 15.2% 증가한 2612억 원으로 확대됐으며, K-푸드 해외 거점공관 지정, 전통주 수출시장 개척 등 수출 전략도 추진한다.

균형성장 차원에서 농식품부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1703억 원)을 도입해 6개 군 주민 24만 명에게 월 15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아울러 농촌 빈집 철거를 전담하고, 영농폐기물 수거 사업을 새로 시작한다. 동물복지 관련 예산도 확대해 ‘원-웰페어밸리’ 조성(71억 원), 유실·유기동물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예산은 농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