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시사뉴스피플=손동환 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경기 회복과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과기부, 농식품부, 산업부, 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국토부, 해수부, 중기부, 국조실, 금융위 등 관계 부처 장·차관과 산업연구원 원장이 참석했다.

장기간 이어진 경기 부진 흐름은 새 정부 출범 이후 반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의 효과로 7년 7개월 만에 소비심리가 최고 수준인 111.4로 상승했으며, 7월 소매판매는 29개월 만에 최대폭인 2.5% 증가했다. 1분기 역성장했던 GDP도 2분기 반등했으며, 전산업생산 등 산업활동 주요 지표 역시 2개월 연속 개선됐다.

구 부총리는 경제 회복을 위한 “본격적인 경주”는 이제 시작이라며 정부는 쉬지 않고 “전력질주”하겠다고 강조했다. 9월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고, 추석 민생안정대책도 조속히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글로벌 통상 리스크 대응과 AI·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산업 위기 대응과 수출 지원도 강화된다. 지난 8월 28일 서산(석유화학)과 포항(철강)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이날 회의에서는 미국 관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수출기업 지원과 통상 현안 대응을 위해 2026년 예산안을 4조 3천억 원으로 편성, 2025년 1조 6천억 원 대비 대폭 확대했다.

관세 피해 기업에는 연말까지 13조 6천억 원의 긴급 경영자금을 공급하고, 수출 바우처도 2026년까지 약 4천 2백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관세피해업종 저리운영자금은 금리를 0.3%포인트 인하하고, 대출 한도를 10배로 늘리는 등 지원을 확대한다. 철강과 알루미늄 분야는 긴급 저리융자자금 신설과 긴급 할당관세 적용 등을 통해 보호 장치를 강화한다.

중소기업과 주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도 핵심 과제다. 뷰티·패션·라이프·푸드 등 4대 K-소비재 중심 수출 강소기업 육성과 신시장 개척을 위한 금융·인증·마케팅 패키지 지원이 제공된다. 철강, 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초격차 기술 R&D를 확대하고, 10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 조성으로 첨단 전략 산업에 전폭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국민 생활 편의 향상을 위해 안전, 교통, 여가 관련 공공기관 서비스 33건이 개선된다. 전기시설 고장 시 무상 응급조치 서비스인 ‘전기안전 119’를 임산부와 다자녀 가구까지 확대하고,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무료 전자파 측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학자금 대출 신청도 주말·공휴일까지 가능하도록 확대된다.

교통과 여가 서비스도 강화된다. 기차 탑승 후 ‘코레일톡’ 앱으로 좌석 변경이 가능하며, 고속도로 주유소에서는 ‘내일 가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위한 국립공원 탐방 차량이 지원되며, 우리 강 자전거 종주길은 러닝까지 가능한 테마형 멀티트랙으로 확장된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