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피플=김시동 기자]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0일 오전 8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TF) 회의를 주재하고, 8월 고용동향과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8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6만6,000명 증가하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고용률은 69.9%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취업자 증가를 견인한 반면, 제조업과 건설업은 감소세가 지속됐다. 연령별로는 청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상승했으며, 50대는 보합세를 기록했다.
이 차관은 회의에서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를 통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이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의 핵심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어 민관 역량을 결집해 ‘30대 선도 프로젝트’를 조속히 추진하고, 취약 청년을 대상으로 한 고용 서비스 강화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청년 고용 서비스 강화를 위해 교육부 국가장학금 신청자 정보와 고용부 고용정보 DB를 올해 3월부터 연계했다. 이를 기반으로 약 150만 명 대학생의 취업 여부를 확인해, 졸업 후 4개월 내 취업하지 못한 청년에게 직업훈련과 일경험 등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등과 연계해 내실 있는 밀착 관리도 이어갈 계획이다.
직접일자리 사업도 연초부터 신속 채용을 추진한 결과, 8월 기준 128만1,000명을 채용하며 연간 목표치 123만9,000명을 초과 달성했다. 이 차관은 다가오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어르신 등 취약계층의 소득·일자리 안정을 위해 기존 채용 인원의 유지와 집행 잔액 활용 등 집행 관리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노동조합법 개정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거 판례와 노동위원회 결정,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사용자성 확대 및 노동쟁의 대상 등에 대한 상세 매뉴얼을 신속히 마련·배포할 것을 지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