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된 한국인들을 태울 대한항공 전세기 (사진=공항사진기자단)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된 한국인들을 태울 대한항공 전세기 (사진=공항사진기자단)

[시사뉴스피플=한장선 선임 기자] 미국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됐던 한국인 300여 명이 구금 7일 만에 석방돼 귀국길에 올랐다. 외교 당국의 조율로 전세기 탑승이 성사되면서, 이들은 수갑 등 신체 구속 없이 평상복 차림으로 귀국 절차를 밟았다.

현지시간 11일 새벽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을 나온 한국인들은 버스 8대에 나눠 타고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으로 이동했다. 대한항공 전세기는 같은 날 정오 출발해 한국시간 12일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탑승자는 한국인 316명과 외국 국적자 14명(중국 10명, 일본 3명, 인도네시아 1명) 등 총 330명으로, 이 가운데 한국인 1명은 미국 체류를 선택했다.

이번 귀국은 지난 4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어진 대규모 단속 이후 7일 만이다. 당시 미 당국은 한국인 300여 명을 포함해 총 475명을 체포해 국제적 파장이 일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국 취재진과 만나 “지금 억류 상태인 우리 국민이 내일(11일)은 비행기(전세기)를 타고 귀국할 수 있고, 그런 과정에서 일체 수갑을 채우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 한번 (미국 측과) 확인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특히 “이분들이 다시 미국에 와서 일을 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하겠다는 것도 (미국 측으로부터) 확약받았다”며 이번 사태로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향후 미국 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전세기 귀국으로 일단락됐지만, 대규모 단속의 배경과 원인,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대책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