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국무총리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국무총리실)

[시사뉴스피플=손영철 전문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는 최근 통신사와 금융사에서 연이어 발생한 해킹사고로 국민들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점검 회의를 열었다.

김 총리는 회의에서 KT와 롯데카드 해킹사고 관련 보고를 받고, “경제와 사회를 지탱하는 근간이면서 동시에 국민들이 매일의 일상에서 사용하는 필수 서비스인 통신과 금융 분야에서 해킹사고가 일어나 국민 여러분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점을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또한 김 총리는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국민에 대한 위협으로 판단하며, 관계부처는 연이은 해킹사고가 안이한 대응 때문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에 대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고, 사고 발생 원인과 사업자의 보안 관리 체계상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 철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무엇보다 정보보호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두고, 관계부처 장관들은 이번 사태 수습과 해결에 해킹과의 전쟁에 임한다는 각오로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기업의 해킹 신고가 없어도 직권조사가 가능하도록 조사권한을 강화하고, 보안 의무 위반 시 과징금 등 제재 수단을 확대하는 등 정부의 침해사고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다수 제시했다.

이에 김 총리는 “범정부 정보보호 종합대책 수립에 있어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관련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