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AI 도입 현황 비교 (사진=PDF Guru)
한일 AI 도입 현황 비교 (사진=PDF Guru)

[시사뉴스피플=김시동 기자] 한국 직장인들이 인공지능(AI) 활용 경험과 학습 의지 모두에서 일본 직장인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ChatGPT(챗지피티)와 Gemini(제미나이) 등 주요 AI 도구의 사용률에서 뚜렷한 격차가 나타나, 한국이 이미 AI 활용의 일상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문서 플랫폼 PDF Guru는 한국의 틸리온 프로, 일본의 Freeasy24와 협력해 한국과 일본 직장인을 대상으로 AI 활용 현황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AI 도구를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한국이 34.8%, 일본이 48.6%로, 일본이 약 14%포인트 높았다. 반면 “몇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은 한국이 24.2%, 일본이 18%로, 한국 직장인들이 단순 체험 단계를 넘어 실질적인 활용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AI 도구 활용률에서도 격차가 뚜렷했다. 챗지피티 사용률은 한국이 36.9%, 일본이 30.1%였으며, 제미나이(20.2% vs 14.7%)와 기타 AI 도구(7.9% vs 2.4%) 모두 한국이 우세했다. 반면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일본이 46.1%로 한국(30.8%)보다 15%포인트 이상 높아, 인지도 차이가 크게 드러났다.

AI 활용 목적에서도 국가별 특성이 엇갈렸다. 업무 목적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한국은 개인적 활용(27.9% vs 17.3%), 단순 체험(24.5% vs 9.2%), 학습 목적(11.8% vs 7.7%) 등 비업무 영역에서의 확산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한국이 단순한 생산성 향상을 넘어 AI를 자기 계발과 일상적 실험의 도구로 받아들이는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가 직업과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도 한국은 일본보다 낙관적이었다. “AI가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한국이 35.4%, 일본이 27.5%였으며, 향후 5년 내 변화를 “중간 이상”으로 예상한 비율도 한국 38.5%, 일본 22.4%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꼭 배우고 싶다”(17.3% vs 12.5%), “이미 알고 있다”(10% vs 5.1%)는 항목에서도 한국이 앞섰다.

PDF Guru는 “한국은 AI 활용이 단순한 체험 단계를 넘어 습관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며 “기업과 기관은 인식 제고를 넘어 PDF 요약 AI 등 실무형·학습형 솔루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