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에 걸친 30여 년의 역사 이어와
재료 선별부터 포장까지 직접 작업해
정선을 대표하는 수리취떡, 더욱 널리 알릴 것

권덕수 대표
권덕수 대표

[시사뉴스피플=김태균기자] 남부지방에 모시떡이 있고 제주에 오메기떡이 있다면 강원도 정선에는 수리취떡이 있다. 수리취떡은 강원 정선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수리취의 최대 자생지인 정선을 대표하는 특산품으로 꼽히기도 한다. 

30여 년에 이르는 긴 역사 

명성수리취떡은 30여 년에 이르는 긴 역사를 이어오고 있는 정선의 대표 떡집이다. 명성수리취떡의 권덕수 대표는 떡 방앗간을 하시던 장모님의 뒤를 이어 수리취떡을 만들고 있다. 그가 수리취떡을 만들게 된 이유는 장모님이 직접 만들어주셨던 수리취떡의 맛 때문이었다. 결혼 전 장모님이 만드신 수리취떡을 먹게 된 권 대표는 그 맛에 깜짝 놀랐고, 수리취떡을 상품화시키고 싶다는 장모님의 말씀에 귀 기울였다. 장모님의 떡 맛에 반한 그는 결혼을 한 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바로 장모님의 뒤를 이어 그 맛을 그대로 재현하며 옛 맛, 전통의 맛이 고스란히 담긴 수리취떡을 만들게 되었다. 현재 그는 카페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명성수리취떡은 강원랜드에도 납품이 되고 있으며, 정선을 대표하는 특산품으로 판매가 되고 있다. 현재 명성수리취떡은 수출을 하고 있진 않지만 외국으로 나가는 많은 소비자들이 명성수리취떡을 구매하고 있다. 냉동 후 해동을 해도 그 고유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대량으로 주문을 해 냉동보관을 하며 식사 대용으로 매일 같이 수리취떡을 챙겨 먹는 소비자들도 많다.  

수리취 50%에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순수한 맛

전국의 수많은 소비자들이 명성수리취떡을 찾는 이유는 그 맛에 있다. 언제 먹어도 변치 않는 고유한 그 맛은 권 대표의 한결같은 정성에서 비롯된다. 그는 나물의 관리부터 떡 제조의 전 과정에 모든 노력을 쏟는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그는 나물 관리를 꼽았다. 수리취는 나물 중 식이섬유가 가장 많은 나물로 열성이 강해 나물을 채취한 후 자루에 넣어두는 시간이 길어지면 열의 발생으로 갈변하기 때문에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 나물의 세척과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면 수리취를 삶아서 소분하고 급냉한 후 떡을 만든다. 

수리취는 원래 경기 북부 지역과 강원도 지역에서 먹던 나물로, 과거에는 ‘떡취’라고 불렸다. 뒷면이 하얀 이 수리취라는 나물로 만든 떡이 바로 수리취떡이다. 명성수리취떡은 수리취떡 전문점으로 8~90%의 떡이 수리취로 만들어진다. 권 대표는 청정 자연에서 계약 재배로 수리취를 재배하여 나물 선별과 같은 전처리부터 떡 가공, 포장까지 직접 모든 작업을 직접 하고 있다. 명성수리취떡의 가장 큰 특징은 1년 내내 언제나 똑같은 맛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누구에게도 떡 만드는 일을 넘기지 않는 권 대표의 손맛이 그 맛을 보장한다. 온 정성을 다해 제대로 만드는 명성수리취떡이다.
수리취로 만들어지는 떡은 종류도 다양하다. 수리취 인절미, 수리취 영양떡, 수리취 찹쌀떡뿐 아니라 수리취 가래떡과 수리취 절편도 있다. 명성수리취떡의 수리취 함량은 무려 50%에 달한다. 수리취 함량이 2%만 되어도 ‘수리취떡’이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되는 것에 비하면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양이다. 떡에 들어가는 모든 곡물은 국내산이며, 방부제나 색소, 유화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명성수리취떡은 주문을 받으면 바로 떡을 만들어 택배를 통해 고객들에게 수리취떡을 보낸다. 전국 각지의 소비자들은 택배를 통해 냉동하지 않은 상태의 떡을 받아 가장 맛있는 상태의 수리취떡을 맛보게 된다. 식이섬유가 많아 텍스처가 단단하면서도 쫄깃한 식감은 무척이나 매력적이다. 향도 쑥처럼 세지 않아 호불호 없이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다. 

정선을 대표하는 수리취떡, 전통 방식으로 그 맛 널리 알릴 것
권 대표는 수리취떡에 대해 “‘수리’ 혹은 ‘수릿날’이라는 말은 ‘단오’와 같은 말로 사용이 되었고, 과거에는 단오날 즉, 음력 5월 5일에 한 해를 건강하게 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이 수리취떡을 먹었다”고 설명했다. 단오날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수리취떡을 먹는 것이었다고.

최근에는 단오에 수리취떡을 챙겨 먹는 관습이 많이 사라졌지만 그 특별한 맛에 매료된 많은 소비자들이 수리취떡을 주문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치원이나 학교에서의 주문이 많다고 그는 말했다. 많은 학생들이 수리취떡을 직접 먹어보면서 우리나라의 명절에 대해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결혼식 답례떡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수리취떡은 혼례떡이나 승진떡, 제수떡 등으로도 많은 판매가 이루어진다.

수리취떡은 전국을 다 뒤져도 다루는 곳이 많지 않다. 정선 전체에서도 수리취떡을 다루는 곳은 6곳 정도뿐이다. 명성수리취떡은 정선의 이름을 걸고 정선을 대표할 수 있는 특산품으로서 수리취떡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는 우리 전통의 맛을 지키며 수리취떡의 맛과 의미를 더욱 널리 알려 나가고자 한다. 자신이 그 맛에 반해 수리취떡을 만들게 된 것처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수리취떡의 깊은 맛을 선사하는 것이 그가 가진 목표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