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피플=김시동 기자]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지난 11일부터 12일까지(현지시간) 캐나다 나이아가라 지역에서 열린 제2차 주요 7개국 협의체(G7)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해 해양안보, 핵심광물,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과 한-G7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G7 회원국과 초청국인 한국, 브라질,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이 참석했다. 조 장관은 12일 열린 ‘해양안보 및 번영’ 세션과 ‘에너지안보 및 핵심광물’ 세션에 각각 참여했다.
조 장관은 먼저 “해양안보 및 번영이라는 주제는 해양에 크게 의존하는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며 UN해양법협약(UNCLOS) 등 국제법에 기반한 해양질서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해저케이블 등 핵심 해양인프라 보호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해양안보 및 법집행 분야에서 국제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열린 ‘핵심광물 및 에너지 안보’ 세션에서 조 장관은 핵심광물 공급망 불안정과 국제 에너지 시장의 변동성을 주요 도전 요인으로 지적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공급망 전 단계에서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민관금융 지원과 기술 협력, 정보 공유를 확대해야 한다”며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으로서 우리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협력에 계속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조 장관은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G7 핵심광물 행동계획’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다. 해당 계획은 책임 있고 신뢰 가능한 표준기반 광물시장 구축, 투자 파트너십 강화, 기술개발 및 혁신 촉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한편 조 장관은 이번 회의 기간 캐나다, 미국, 일본, 우크라이나, 남아공, 인도, 이탈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참석국 외교장관들과 잇따라 만나 양자관계와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는 “조 장관의 이번 G7 외교장관회의 참석은 의장국 캐나다의 초청에 따른 것으로, 주요 글로벌 의제에 대한 한-G7 협력 강화와 함께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글로벌 공급망, 해양안보, 에너지 등 주요 국제 현안 대응에 있어 G7 국가들과의 공조를 지속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