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무 LG회장은 고 구인회 LG 창업주 맏손자로 1995년 제3대 LG 회장에 취임한 이래로 지난 2월 22일로써 취임 15주년을 맞았다. 구 회장 취임 이후 LG는 비약적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 배경에는 강점을 극대화하는 경영시스템과 기업문화의 구축,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 고객가치를 중시하는 구 회장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재계에 따르면 LG그룹은 1994년 매출 30조 원대에서 전자와 화학을 양대 축으로 성장을 거듭해 2009년 125조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수출은 148억 달러에서 460억 달러로 3배 이상, 시가총액은 6조8000억 원에서 73조 원으로 10배 이상 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같은 LG의 고속 성장의 뒤에는 구 회장이 있었다. 구 회장은 취임 직전인 1995년 1월 회사의 상호를 럭키금성에서 LG로 바꾸며 회사 이미지를 변경했다. 또한 반도체 사업 빅딜 논의가 한창이던 1998년 말. 구 회장은 LG전자와 LG반도체가 나눠 맡고 있던 LCD(액정표시장치) 사업을 분리, LG디스플레이의 전신인 LG LCD를 설립했다. LG 관계자는“LG가 100조원대의 매출을 올리는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는 반도체 사업의 대안을 일찍 내놓았기 때문”이라며“당시 결단이 없었더라면 지난해 20조 원의 매출을 올리며 LCD패널 판매량 기준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LG디스플레이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무식 경영시스템의 완결판은 2005년 정립한‘'LG웨이’다. LG웨이는 지주회사 체제 전환, 계열 분리 등을 마무리한 뒤 선포한 경영이념이다.‘고객을 위한 가치창조’,‘인간존중의 경영’등의 목표를 LG 특유의 행동방식인‘정도경영’을 통해 이뤄내‘일등LG’를 달성하자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구 회장은 취임 15년째인 올해 신년사를 통해서도‘고객가치 경영’을 LG가 추구할 화두로 제시했다.‘고객가치 혁신을 선도하는 테크놀로지 컴퍼니(기술회사)’를 미래의 지향점으로 삼아 100년을 넘어서는 영속기업으로 도약하자는 것이다. 이와 관련, LG그룹은 올해 135조 원의 매출 가운데 75%를 해외에서 거둬들여 해외매출 100조원을 돌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 이민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