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물놀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물놀이 안전사고는 익사사고, 조난사고, 안전 부주의 사고, 시설안전사고 등 여름철 물놀이 중에 인명피해 또는 재산피해가 발생한 사고를 말한다. 물놀이 안전, 방심은 금물이며 항상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물놀이 안전의 모든 것을 사고의 유형부터 안전요령까지 알아보자.

여름철 물놀이 사고, 안전 수칙
▶ 물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준비운동을 한다.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풀어주는 정도면 된다.
▶음주 후 수영할 때 사고발생 위험이 크므로 금지한다.
▶수영도중 몸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땅길 때 몸을 따뜻하게 감싸고 휴식을 취한다.
▶물의 깊이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니 조심해야한다. ▶구조 경험이 없는 사람은 안전구조 이전에 무모한 구조를 삼가야 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 구조에 자신이 없으면 함부로 물속에 뛰어들지 않는다.
▶수영에 자신이 있더라도 될 수 있으면 주위의 물건들(장대, 튜브, 스티로폼 등)을 이용한 안전구조를 한다.
▶장시간 계속 수영하지 않으며, 호수나 강에서는 혼자 수영하지 않는다.
▶어린이의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이 절대 아이들끼리 물속에서 놀게 하면 안 되며 항상 보호자와 함께, 또는 보호자가 확인 가능한 시야에서 놀도록 해야 한다.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 어린이가 입은 구명조끼를 위에서 빼도 빠지지 않을 정도로 꽉 조여 주는 게 바람직하다.
▶계곡에는 돌이나 나뭇가지 등 발을 다치게 할 수 있는 요소가 많으므로 반드시 신발을 신도록 한다.
▶배 혹은 떠 있는 큰 물체 밑을 헤엄치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않는다.
▶물에서 평영 50m는 육상에서 250m를 전속력으로 달리는 것과 같은 피로를 느낀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체력과 능력에 맞게 물놀이를 해야 한다.
▶ 기도를 막아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껌을 씹거나 음식물을 입에 문 채로 수영하지 않는다.

물놀이 사고시 대처 요령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것은 반드시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사람들만 하는 것은 아니다. 수영을 할 줄 몰라도,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주위에 있는 물건을 활용해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물에 들어가지 않고 가장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위에 있는 장대나 긴 줄 등으로 사람을 구하는 방법이다. 물에 뜰 수 있는 것(페트병, 테니스공, 스티로폼, 어린이 장난감)을 긴 줄에 묶어 던져서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물에 빠진 사람을 구했는데 호흡과 맥박이 뛰지 않을 때는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사람은 심장이 멎고 5분이 지난 뒤부터 뇌사 상태에 빠진다. 물이 어느 정도 따뜻한 여름철이지만 그래도 10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해야 목숨을 구할 가능성이 높다. 심폐소생술은 구강 대 구강 호흡을 2회 한 뒤 흉부 압박을 30회 하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할 때는 물에 빠졌던 사람이 호흡할 수 있게 고개를 뒤로 젖혀야 한다. <NP>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