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랍 19일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백만여 표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최초의 여성대통령이자 1987년 직선제 이후 대선에서 과반수 이상을 득표한 첫 대통령이 되었다. 보수와 진보의 대결로 치러진 이번 대선에서 이념, 세대, 지역적 갈등이 심화되고 분열되었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선거를 통해 국가운명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도자는 국민의 신임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미래를 향해 모든 국민을 통합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

박근혜 당선자는 선거운동을 치르면서 “국민 대통합”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국민의 공감대를 호소했다. 지역갈등이 팽배한 호남을 의식하여 한광옥 국민대통합위 부위원장을 영입하고 한화갑 전 새천년민주당 대표의 지지도 받았다. 동서화합에 공을 들인 이번 선거에서 호남지역의 새누리당 지지도를 두 자리 숫자로 끌어올렸다.

이 여파를 등에 엎고 박근혜 정부는 지역균형발전과 대탕평인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국민행복시대를 열어야 한다. 대선과정에서 분열된 민심을 포용과 관용으로 ‘모성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통합과 정치개혁은 국가 발전, 정치문화의 혁신을 위해서도 절대적 조건이자 시대의 요구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5년 박근혜 정권의 국정운영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 이미 박 당선자는 ‘100% 대한민국 건설’을 다짐한 바 있다. 그 실천과제로 이념,지역,계층,세대,정파를 초월한 인사를 등용하기 위해 국정쇄신정책회의를 설치하겠다고도 했다.

이번 선거결과 국민 과반수는 패배감과 상실감에 싸여있다. 새누리당은 야당 지지자들의 울적한 정서도 의식하여 마냥 승리에 도취되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번 선거의 최대 이슈는 ‘국민 대통합’ 였다. 따라서 박근혜 정권의 첫발은 탕평인사를 해야 한다.

‘인수위’의 구성인사에서부터 새로운 실세로 등장한 ‘친박’은 2선에 물러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박 당선자가 국민과의 소통도 원활할 수 있으며 국민이 원하는 국정운영의 틀도 원만하게 짜나갈 수 있을 것이다.

박 당선자의 두 번째 중요한 과제는 민생과 경제문제의 실타래를 어떻게 잘 풀어나갈 지이다. 선거 전부터 이번에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경제문제는 어려울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2008~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의 후유증이 향후 최소 5년은 지속될 것이라는 유엔 보고도 있다.

수출주도형 한국경제에 외부적 요인이 너무 열악하고 가시밭길이다. 경제위기극복과 민생 챙기기를 통해 복지국가 실현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 지금 몇몇 대기업은 어려운 세계경제 환경 속에서도 꾸준한 성장과 도약을 하고 있지만 국내 경제는 침체된 내수와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소득분배의 악화와 중산층 붕괴는 심각할 정도다. 잠재성장률은 3%정도의 저성장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 빚은 1000조 원에 육박하는 총체적 경제위기에 놓여있다. 그 결과 청년들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고 자영업자는 속속 폐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박 당선자 역시 선거 표심을 의식해 충분한 검토 없이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경제 공약도 내 놓았을 것이다. 공약의 우선순위를 재정립하여 국민에 이해를 구해 버릴 건 버리고 지켜야 할 것은 재원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민생 관련 복지 공약도 마찬가지다. 생산적 복지원칙에 따라 가용 재원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취업과 보육 등 지금 당장 성장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분야부터 복지예산을 풀어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 한계상황까지 온 한국경제를 경제민주화의 기조로 다시 판을 짜고 구조개혁과 경제 회생의 플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제 여야는 대선이 남긴 감정적 상처를 서로 보듬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 때다. 치열한 선거과정에서 발생한 ‘네거티브’에 대한 반성과 사과가 여야간에 있어야 하고 갈등을 푸는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문재인 후보의 민주통합당은 건강한 비판세력으로 거듭나는 야당이 될 수 있도록 새롭게 야당정치판을 짜야 한다. 이것만이 정치쇄신과 시대극복을 열망하는 국민들에게 보답하는 길이자 선거패배를 책임지는 자세가 될 것이다. NP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