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탄핵 표결시 집단퇴장도” vs 비박 “무조건 탄핵”

(사진출처=새누리당)

[시사뉴스피플=이남진 기자] 여당 새누리당의 당내 균열이 표면화하고 있다. ‘4월말 퇴진, 6월 대선’을 당론으로 확정한 지 이틀 만에 비주류 세력이 ‘탄핵안’ 참여 쪽으로 급선회하면서 분당 시나리오까지 제기된다.

9일 본회의에서 탄핵안 표결이 이뤄질 경우 당내 비박(非朴)계 의원들은 투표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기로 전날 비상시국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정현 대표 등 당 지도부는 5일 “내년 4월 퇴진, 6월 대선에 대해 청와대의 즉각적인 입장 표명을 요구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청와대를 압박하고 있다. 탄핵 표결에 앞서 여야간 정치적 협상을 촉구하며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친박계는 비상시국위원회를 이끌고 있는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이 ‘4월말 퇴진, 6월말 대선’ 당론에 동의해 놓고도 이를 번복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탄핵 표결시 집단퇴장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친박 내부에서도 일부 반발 기류가 돈다. 친박계가 주축인 새누리당 재선 모임은 모임을 열어 탄핵 투표에 참여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의원 일부도 탄핵안에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정진석 원내대표 등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는 탄핵안 표결에 참석하고, 의원들의 의사에 따라 투표하는 ‘자유투표’ 방침을 정했다.

정 원내대표는 “4월 퇴진, 6월 대선 당론은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 대표도 탄핵안 자유투표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탄핵안 가결은 더욱 유력시 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상시국위원회 대변인 황영철 의원은 “친박계에도 탄핵에 찬성하는 의원이 3명이상”이라고 했다. 무기명 투표로 이뤄지는 탄핵안 투표에서 예상보다 훨씬 많은 찬성표가 나올 수 있을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그러나 청와대발(發) 돌발변수가 나올 여지는 있다. 3차 담화에서 승부수를 던진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안 표결 전에 추가 대국민 담화나 기자회견을 통해 ‘내년 4월 퇴진·6월 대선’을 명시적으로 공표하는 경우다. 담화 내용의 수위에 따라 정치권의 파장 여부도 변수다.

박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나흘 앞두고 ‘운명의 한주’가 지나가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뉴스피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