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결시, 與 “4월 퇴진, 6월 대선” 野 “의원직 사퇴”

[시사뉴스피플=전은지 기자] 역사의 한 부분으로 기록될 박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국회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가 만났다.
이날 오전 10시 30분 정세균 국회의장, 정진석 새누리당,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탄핵소추안에서 ‘세월호 7시간’ 내용 제외, 국회 경내 개방, 의원들의 투표인증사진 허용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회동을 가졌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의회 민주주의와 광장 민주주의는 엄연히 다르다. 표결 당일 국회를 개방하겠다는 것은 광장을 의회로 끌어들이겠다는 것”며 “(투표장면을) 사진으로 찍어 공개하라는 건 대꾸할 가치도 없다. 초헌법적 발상”, “국회 내 확고한 질서유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내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돼 국정혼란을 최소화하는 의회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국회 내의 질서유지는 의장이 책임질 것이라고 믿는다”며 “탄핵소추안에서 세월호 7시간 빼지 않겠다. 수정협상은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탄핵 열차는 부산, 목포에서 출발해서 내일까지 여의도에 도착할 것이다. 탄핵은 거스를 수 없다”며 “내일 국회 본회의에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질서정연하게 처리되도록, 새로운 대한민국의 출범에 함께 나가자”고 했다.
9일 탄핵안 표결을 두고 여‧야 3당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각 당은 부결된 이후의 입장도 전했다.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7일 기자간담회에서 “탄핵안이 부결돼도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6월 대선을 이행해야 한다”며 “이는 지도부와 상의하지 않은 개인적인 사견”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의원직을 사퇴하겠다는 사퇴서를 작성해 지도부에 제출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총 121명, 국민의당은 38명(당원권 정지된 3명은 제외)이다. 이재정 더민주 원내대변인은 “국민의 뜻을 받들지 못하는 국회 역시 존재할 이유가 없다”며 “이견은 한 명도 없었으며 참석한 의원들 중심으로 사퇴서에 서명했다”고 말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 역시 “오늘 일괄사퇴서를 작성해 원내대표에게 제출했다”며 “비례대표 의원들도 당연히 포함됐다”고 말했다.
탄핵안 가결을 위해서는 200명의 정족수가 필요하다. 탄핵안 투표권을 가진 재적의원 300명 중 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무소속 의원 171명이 탄핵안을 발의했고, 민주당 출신인 정 의장을 포함해 172표를 확보했다고 보고 있다. 이에 가결을 위해서는 새누리당 의원의 28표가 필요하다. 새누리당 측은 의원들에게 자유투표를 맡기기로 결정해, 실제 찬성 표를 던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더민주‧국민의당‧정의당 등 야 3당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탄핵 촛불집회, 릴레이 농성 등을 이어갈 예정이다. 우 원내대표는 “더민주 의원들은 1박2일 국회 농성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국민과 함께 탄핵가결 의지를 표출할 것”이라고 말했고, 국민의당 역시 “탄핵안 표결시까지 소속 의원 전원이 탄핵안 가결을 위한 농성에 돌입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